게오르기에바 총재, ”경쟁국들로 인한 세계 경제 분열 심화로 신 냉전 시대 도래할 수 있어”
미중간 연간 무역 여전히 6000억 달러에 달해
트럼프 정부의 중국산 수입품 관세 부과로 미중 경제 간 디커플링 가속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지난 토요일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경쟁국들로 인한 세계 경제의 분열이 심화되고 있어 신 냉전 시대가 도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고 1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가 보도하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 경제가 블록화 되면 성장이 둔화해 연간 1조 4,000억 달러가 날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미국과 유럽의 글로벌 공급망 재조정을 위한 노력이 팬데믹 기간 동안 공급망을 다양화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타당하지만 그 범위를 넘어서 두 강대국이 지정학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새로운 무역 장벽을 세운다면 전 세계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미국과 중국 사이의 연간 무역이 여전히 6,000억 달러에 달하는 등 두 나라 경제가 상호 긴밀하게 얽혀 있어 완전히 분리되기는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정부가 2018년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이후 미국과 중국 경제 간 디커플링이 가속하고 있다. 

게오르기에바 총재는 트럼프 정부가 3,000억 달러 이상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한 이후 바이든 정부가 이를 이어받았으나 이로 인해 미중 간 무역 적자 폭이 줄어들지도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미국 소비자들이 중국 제품에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했다고 말했다.

한편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은 인도를 방문해 중국과 같은 적대국 대신 인도와 같은 미국에 우호적이거나 동맹 관계를 맺고 있는 우방국과의 공급망 체계 구축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