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7%
러시아가 위안화 사용 비중 늘려

중국 위안화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28일 보도했다. 국제결제은행(ISB) 통계에 따르면 통화별로 위안화 거래 점유율은 5위로 올라섰다.
국제결제은행은 27일 글로벌 외환거래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각국 중앙은행의 보고서를 취합해 3년마다 발표된다.
이번에는 2022년 4월까지의 조사 데이터라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4월 위안화 거래액(일평균)은 5260억 달러로 2019년보다 85% 증가했고,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매매 합계 200%)로 2.7%포인트 올라 달러·유로·엔·파운드에 이어 5위였다.
2019년 위안화 점유율은 8위였다.이번에는 호주달러, 캐나다달러, 스위스프랑 등 선진국 통화의 점유율을 넘어섰다.
러시아 등이 위안화 거래를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세계은행간금융통신협회(SWIFT)에 따르면 9월 중국 역외 위안화 결제 점유율을 보면 러시아가 3.58%로 4위를 차지했다.
3월까지 15위권 안에 들지 못했던 러시아의 점유율은 4월 12위(0.62%)로 급상승한 뒤 7~8월 3위로 올라섰다.
신문은 또 원유 거래 등 무역 결제를 제외하고 얼마 전 러시아 알미늄 관련 회사가 러시아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국내에서 위안화 기업채를 발행했다고 전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태국, 외국인 토지매입 제한 완화... 부동산 투자가능액 두 배 증가
- 페루, 블루베리 4년 연속 최대 수출국 될 듯
- 인도 총리 모디, C-295 조립라인 구축계기로... "인도, 수송기 제조 중심 돼야"
- [기고] 전북 중소기업 단체협의회 두완정 회장의 열정과 노력
- 중국 제조업, 멕시코 투자로 눈돌려
- 가격 인상과 엔화 약세, 일본 제조업 순이익 9% 증가
- 러시아 중앙은행,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재현" 경고
- [비전ON] 러시아 중앙은행, 가상화폐 사용 및 암호 채굴 금지 제안
- 기재부 ‘해외송금, 증빙 없이 10만달러까지 가능’
- 中위안화, 대러 제재 덕분에 국제무역시장 점유율 4.5%... "기축통화 도전" 야망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