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조 바이든 대통령이 2022년 9월 22일 목요일 뉴욕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두 국가지도자의 우호적인 접근은 중국과 우호적인 외교 정책을 받아들였던 전임자와는 확연히 다르다고 23일(현지시간) AP통신은 전했다.

이와 관련 미국의 마닐라와의 관계 심화는 바이든 행정부에 최우선 외교 사항인 것으로 보인다고 매체는 덧붙였다.

22일(현지시간) 뉴욕에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첫 만남에서 필리핀은 이전 필리핀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훼손된 오랜 관계를 되살리려는 상호 의도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필리핀은 미국과의 동맹을 더욱 돈독히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논평했다.

마르코스와 바이든은 필리핀 선거에서 압승한 후 고(故) 독재자의 아들이 취임한 지 몇 달 후 뉴욕에서 유엔 총회와는 별도로 취임식 첫 대면 회담을 가진 것이다.

마르코스는 대통령이 된 이후 마닐라를 워싱턴으로부터 멀리하고 중국 우호적인 방향을 수용하는 전략을 대폭 수정한 셈이다.

이와 관련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대통령 시절의 외교 정책을 전환하면서 안토니 블링켄 미 국무장관을 포함한 다수의 미국 고위 관리들과 회담을 가졌다.

그는 이번 미국 방문기간 중 우린 파트너고, 동맹임을 강조했다.

워싱턴 D.C.에 있는 전략국제문제연구소의 동남아시아 전문가 그레고리 폴링 씨는 AP통신에 두 나라 모두 유대관계를 강화하고자 하는 열망을 전달했다고 언급했다.

블링켄 국무장관은 "이번 회담은 양측이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싶어하고 있으며, 그렇게 하는 것이 바이든 행정부의 최우선 과제임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백악관이 유엔총회 기간중에는 별도로 "이런 종류의 회의를 많이 조직하지 않는다"고 말하자 폴링 장관은 "이번 회의를 우선시하는 것은 그 나름의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미-필리핀 동맹은 상당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마닐라에 있는 스트랫베이스 ADR 전략국제연구소의 빅터 안드레스 맨히트 소장은 이번 회의에서 마닐라가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어떻게 강화하고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그는 두 나라 사이의 강력한 관계는 "필리핀인들이 항상 원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르코스 대통령은 지난 7월 첫 대국민 연설에서 필리핀은 "모든 사람에게는 친구, 아무에게도 적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는데, 그의 행정부의 대미 접근 방식은 대통령 재임 초기에 중국에 가서 과거 식민지 지배자였던 워싱턴과 '분리'를 선언한 전임자와 현저한 대조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향후 필리핀과 미국은 한층 격상된 외교관계를 가질 전망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