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비철 잉여 공급 부족 지속
중국 국가석유공사(PetroChina),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건설 착수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전 세계 각국의 탈탄소화 정책 실현이 가속화 되고 있는 가운데 대처 에너지의 가격 급등과 함께 "녹색 인플레이션이 연장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일본 스미토모 코퍼레이션 글로벌 리서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다카유키 홈마 수석 연구원(경제학 박사)는 보고서에서 "인플레이션 하에서 우리는 탈탄소화의 속도를 늦출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은 러시아를 배제하고 자원이 부족한 딜레마만의 문제는 아니다. 재생 가능 에너지 및 전기 자동차 (EV)로의 전환은 계속되고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및 리튬과 같은 비철 금속의 공급 부족은 2030 년까지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심해짐에 따라 탈탄소화의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러시아의 주요 알루미늄 제련소인 루살(Rusal)의 무라카미 아유무(Ayumu Murakami) 법인장은 "환경 대책에 대해 긍정적인 기업들이 계약을 갱신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량 알루미늄은 EV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요소이며 태양 광 발전과 같은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알루미늄에 대한 수요는 연간 3 % 이상의 속도로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탈탄소화를 원한다면 러시아 제품을 구입할 수 밖에 없다.

수력 발전과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로 만든 "녹색 알루미늄"을 원한다면 더욱 그렇다. 수력 발전으로 알루미늄을 대량 생산할 수있는 국가는 말레이시아와 같이 러시아 이외의 일부 국가로 제한된다.

공급과 수요가 빡빡하면 결국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 이 견해는 장기적인 알루미늄 선물에 의해 뒷받침 된다.

런던 금속 거래소 (LME)는 국제 지표 인 세 달 선물뿐만 아니라 향후 5 년 동안의 선물도 나열 할 것이다. 단기 선물과 2015년 9월 간의 가격 차이는 최근 급격히 확대되었으며, 5년 선물은 9월 16일 현재 400달러를 초과했다.

중국의 이전 전략적 포인트인 외곽에, 국영 거대 중국 국가 석유 공사 (PetroChina)는 대규모 태양 광 발전소의 건설을 시작했다. 200,000 가구의 전기 수요를 충족시킨다고 한다.

시진핑 지도부는 60년의 탈탄소화를 옹호한다. 이 회사는 현재 원유 및 천연 가스의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석탄 생산을 늘리기 위해 움직이고 있지만 태양열 및 풍력 발전의 대규모 개발도 동시에 수행 될 것이다. 

간쑤성에서만 둔황시와 국유 기업과 관련된 여러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전기는 심각한 부족이있는 해안 지역으로 보내지지만 물론 전선에 대한 엄청난 수요를 창출한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중국의 구리 수요는 1월과 6월에 전년 대비 약 4% 증가했다. 일련의 도시 봉쇄로 인해 건설 판매가 감소했지만 탈탄 된 수요가이를 보완했다.

공급과 수요가 더 뚜렷한 EV 배터리용 재료도 비싸다. 영국의 연구 회사 인 Argus Media에 따르면 음극 재료에 사용되는 리튬은 다섯 달 반 동안 최고치이며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문제는 공급이 수요 확대를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이다. 광산 개발에는 시간이 걸리고 고품질 광석을 생산할 수있는 광산은 적다. 광산은 아프리카와 같이 정치적 위험이 높은 국가에서 자주 사용되며 주요 자원 회사조차도 새로운 개발에 쉽게 착수 할 수 없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산업 이전 수준에 비해 온도 상승을 억제하려는 파리 협약의 목표가 달성되면 대부분의 비철 금속의 공급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제안한다.

탈탄소화와 관련된 높은 자원 가치는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한다. 기후 변화 위험에 관한 금융 당국 네트워크 (NGFS)에 따르면, 파리 협정 달성을위한 탈탄소화는 2020 년대 후반에 일본, 미국 및 유럽의 인플레이션을 1 % 이상 증가시킬 전망이다. 

하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국가와 중국 등이 여전히 탈탄소화의 깃발을 앞다퉈 들고 있기 때문이다.  

비철 생산 및 저축을 증가시키는 혁신적인 혁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녹색 인플레이션"은 세계 경제 침체의 장기화에 계속 기여할 것이란 우려 섞인 전망이 쏟아지는 이유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