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1년만에 최대 증가율 기록
인플레이션 억제율 평균 4%선 목표

싱가포르 연합조보는 30일 '베트남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7.7%로 반등'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베트남의 올해 2분기 경제성장이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연합조보에 따르면 베트남 경제는 수출과 소비 회복에 힘입어 올 2분기에 강하게 반등했고, GDP는 전년 동기 대비 7.72% 성장해 최근 11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베트남의 올 상반기 GDP 성장률을 전년 동기 대비 6.42%로 당초 정부 전망치인 5.5%를 웃돌게 한 것이다.지난해 같은 기간 베트남은 2.04% 성장에 그쳤다.
베트남 통계청은 이 같은 수치를 발표하면서 "동남아 국가 및 세계 다른 나라에 비해 상당히 높은 성장률이다."라면서 "베트남은 거시경제적으로 안정돼 있다"고 말했다.
또한 베트남이 2021년 말 코로나19 통제 조치를 단계적으로 해제한 이후 국내 산업과 공장들이 생산 활동을 완전히 재개해 생산 활동을 촉진하고 베트남의 생산과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올 상반기 베트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3% 증가한 1859억 4000만달러, 산업생산은 8.7% 증가했다.
블룸버그통신을 인용해 베트남 경제의 강한 회복은 정부의 150억 달러 경기부양 조치와 완화적 통화정책 덕분이라고 전했다.
이와 같은 긍정적인 수치는 베트남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동남아 국가가 글로벌 무역난 속에서 베트남이 외국 투자의 목적지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베트남 통계총국도 하반기 베트남 경제가 인플레이션 압력, 글로벌 정세 변동, 여진 등 많은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세계은행은 지난 6월 초 발표한 보고서에서 베트남이 내수 회복을 억제할 수 있는 연료와 수입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것을 권고하기도 했다.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라 베트남의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37%, 운송비는 21.4% 올랐다.
베트남 정부는 올해 인플레이션율을 평균 4% 이내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가상자산 커뮤니티 '코알라', 3억원 상당 플리터(Flitter) 코인 에어드랍 오픈
- [Inside] 인도 최대 시멘트업체, 위안화로 러시아로부터 석탄 구매
- 에티오피아 아동결혼 급증...가뭄과 인플레이션 영향
- [중국망] 주식 이슈 종목 (2022년 6월 30일)
- 러시아 중앙은행, "70개 외국은행 러시아판 SWIFT 시스템에 가입"
- [비전ON] 베트남 커피 가격 상승 추세로... 올들어 수출 20억 달러 돌파
- 에어뉴질랜드, 기내 수면실 출시... 2024년 출시 예정
- [월드e] 필리핀 국방부, 약 7100억 원에 달하는 한국산 해상초계선 인수
- 세계은행, 베트남의 2045년 고소득 국가 도약 로드맵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