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 격화 조짐으로 제재 강화
돈줄 차단 차원에서 가상화폐 채굴업체도 제재

우크라이나 마리우풀과 돈바스 지역에서 교전이 격화될 조짐이 증가하는 가운데, 미국의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재무부는 21일(현지시간) 러시아 시중은행과 가상화폐 채굴업체 및 개인에 대해 제재 조치를 내린 데 이어 추가 대러 제재 조치를 단행했다.
미국은 전날(20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처음으로 가상화폐 채굴업체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20일 제재가 공개된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러시아의 침공은 근본적인 국제규범과 규범에 대한 공격이며 국제질서의 핵심을 위협한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러시아 연계 선박의 미국 항구 입항을 금지할 것”이라며, "러시아 국기를 달고 항해하는 선박, 또는 러시아의 소유 선박이나 러시아 이익을 위해 운영되는 선박들은 미국 항구에 정박하거나 우리 해안에 접근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20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가상자산 채굴업체인 '비트리버'와 계열사 10곳에 대한 제재를 발표했다.
이와 관련 디지털 통화 회사인 비트리버 AG와 그 자회사 10개가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fice of Foreign Assets Control)의 일괄 제재 대상에 포함되었다고 20일(현지시간) AP통신이 보도했다.
“비트리버는 대규모 채굴장을 운영해 러시아가 천연자원을 현금화하는 것을 도왔다"며 제재 이유를 설명했다.
비트리버는 2017년 러시아에서 설립된 가상화폐 최대 채굴 업체이다. 지난해 스위스로 본사를 옮겨, 러시아가 천연자원을 현금화하는 것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서방국가의 대러 경제 제재로 인해 SWIFT 결제 시스템을 활용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천연가스나 석유 수출대금을 달러화로 결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러시아가 대안으로 가상화폐를 활용할 것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재무부는 20일 성명에서 "미국은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어떤 자산도 푸틴 정권이 제재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밝혔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대형마트 시식코너, ‘사회적 거리두기’해제로 부활
- 강원도형 DID 서비스 ‘나야나’ 정식 출시
- 존 로스 “中, 여전히 전 세계 경제 선두주자”
- 유럽 자동차 업체, 사상 최초로 희토류 현지 조달
- [월드e] 파키스탄, 남아공 석탄 가격 상승에 대체재 모색
- 연준 의장 파월, "50bp 인상" 언급...뉴욕 3대 지수 일제히 하락
- EU,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목표 45%로 상향 조정...‘우크라 사태’로 인한 에너지 가격 폭등 영향
- 유로존,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경제 위기... 3월 CPI 확정치 7.4%↑
- 미국 마블, ‘우크라 침공’ 사태로 러시아 내 만화 발행 중단
- 미국 국무 국방 장관, 우크라 전격 방문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