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장연우 기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롤러 디스플레이 특허 선점을 두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최근 10년간 롤러블 디스플레이 관련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40건으로 53%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LG디스플레이가 26건으로 3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특허청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특허출원 중 화면을 두루마리처럼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들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단단한 유리 기판 대신 유연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 표시장치로서, 두루마리처럼 둘둘 말아 필요시 펼쳐 사용할 수 있어 향후 그 적용 범위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전망에 부응하듯, 롤러블 디스플레이 관련 특허출원은 2013년 2건에 불과했으나, 2014년 15건으로 크게 증가했고, 2016년에는 32건이 출원됐다.
롤러블 디스플레이가 2023년 경 상용 모바일 제품에 적용될 것이라는 정부 및 관련 업계의 전망에 비추어볼 때, 향후에도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10년간 롤러블 디스플레이 관련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40건으로 53%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LG디스플레이가 26건으로 35%를 차지했다. 또한, 중소기업 또는 개인 등이 9건을 출원하여, 롤러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국내 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국내기업의 특허출원이 2014년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최근 3년간 국내기업의 출원비율이 전체 출원 중 90% 이상을 차지했는데, 이는 국내기업들이 CRT 및 평판 디스플레이 방식의 제1, 2 세대 디스플레이의 주도권을 기반으로 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특허청 김종찬 디스플레이기기 심사팀장은 “현재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에 대한 주도권은 국내 기업이 가지고 있지만, 중국, 일본 등 해외 기업의 추격이 거센 만큼, 국내기업들은 국내외에서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확보해 나감으로써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우위를 더욱 견고히 다져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KT, 노사공동 재활용 프로젝트 ‘리본 (Re-Born)캠페인’ 실시...중고 휴대폰 기부
- 알라딘그룹, ‘푹 실시간 TV 서비스 60여 채널 추가’... ‘온에어 VOD’, ‘타임머신’ 서비스 실시
- 롯데 신동빈 회장, 스페인 국왕 훈장 수훈
- 마트 020 맘마먹자, 오프라인 매장 진출 .."중소형 마트 산업 고도화 위해 'O4O' 본격화"
- SK하이닉스, 도시바 반도체 인수 위해 베인캐피탈과 2차입찰 들어가...지분 일부 참여로 선회
- 누그러지는 한한령..."공식적 조취 없었던만큼 해제 발표도 없다"
- 이재현 CJ 회장 "올해 기점으로 다시 경영에 정진... 사업들 궤도에 올려놓을 것"
- 두산 "국내 최대 규모 연료전지 공장 준공... 핵심장비 국산화"
- 카카오, '스마트 교통서비스 공동개발' 관련 한국공항공사와 업무 제휴
- 공정위, 프렌차이즈 갑질 손 본다...가맹본부 보복금지 규정 신설
장연우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