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포함 모든 수입품에 50% 관세 확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브라질을 대상으로 하는 대등관세를 기존 10%에서 50%로 대폭 인상하고,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수입 구리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는 수요일 브라질 대통령 룰라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 같은 내용을 통보하고, 브라질이 전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를 부당하게 탄압하고 있다며 비난을 쏟아냈다.
트럼프는 서한에서 브라질이 “자유 선거와 언론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미국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브라질 법원의 금지 명령과 벌금 부과는 “음흉하고 불법적인 검열”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마녀사냥은 즉시 중단되어야 한다”고 말하며, 이러한 정황을 이유로 브라질산 모든 상품에 최고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룰라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브라질은 자국 법에 따라 “일방적인 관세 인상 조치에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응수했다.
트럼프의 이번 조치는 브라질의 무역흑자 국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행된 점에서 이례적이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미국은 2024년 브라질과의 무역에서 약 74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당초 브라질에 적용된 대등관세는 10%에 불과했으나, 정치적 갈등과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 등이 겹치며 보복성 성격의 관세 인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브래드 세서 미국 외교관계협회 선임연구원은 “이번 조치는 트럼프가 무역 정책을 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위험을 드러낸다”며 “그가 보우소나루를 지지한다는 이유만으로 룰라 정부를 제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트럼프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2022년 대선에서 패배한 이후 선거 부정을 주장하고 유임을 시도했다. 현재는 쿠데타 시도 혐의로 기소된 상태이며, 트럼프는 브라질 당국의 조치가 "정치적 박해"라고 여러 차례 비판한 바 있다.
트럼프는 같은 날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국가 안보에 관한 적절한 보고서를 받은 후 8월 1일부터 50% 구리 수입 관세 부과를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상무부는 올해 2월, 무역확충법 제232조를 근거로 구리 수입에 대한 국가 안보 조사를 시작했으며, 트럼프는 구리가 반도체, 항공기, 군수장비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핵심 자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전임 행정부가 미국의 구리 산업을 파괴했다고 비판하며 “강력한 구리 산업을 재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영국 중앙은행은 이날 발표한 금융 안정 보고서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에 하방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무역 불확실성이 투자 결정을 제약하고 있으며, 글로벌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트럼프는 이번 주 들어 브라질을 포함해 총 21개국에 고율 관세 통보 서한을 발송했다. 그는 각국이 미국과 신속히 협상에 나서서 무역상 이익을 양보하고 협정을 체결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유럽연합과의 협상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진전이 일부 관측되고 있으나, 이탈리아 경제부 장관은 협상이 “극도로 복잡하다”며 8월 1일까지도 결론이 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트럼프의 관세 결정은 단순한 경제적 조치가 아닌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어, 향후 미·브라질 관계 및 글로벌 통상 환경에 상당한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