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리 S. 트루먼' (Harry S. Truman, 1884~1972)은 미국 제33·34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러나 20세기의 미국 대통령 중 유일하게 대학을 나오지 않은 고졸 출신이었다.
어릴 때 '트루먼'은 육군 사관학교에 가고 싶어 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그 꿈을 펼치지 못했다고 한다.
학벌도 없고 집안 배경도 대단하지 않았기 때문에 젊었을 때그가 가졌던 직업 역시 변변찮았다.
기차역에서 검표원을 하기도 하고, 조그마한 상점을 경영하기도 했지만 그나마 잘 되지 않아서 문을 닫아야 했다.
이러한 평범한 사람이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신기한 일이다.
그는 지극히 평범했지만 몇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 중의 하나가 용기였다.
강한 자가 약한 자를 괴롭혔을 때 약한 자의 편을 드는 정의로운 용기가 '트루먼'에게 있었다.
젊은 시절 그는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자원해서 입대했다.
원래 '트루먼'은 지독한 근시때문에 군 복무를 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합중국 육군 신체검사에서 시각검사판을 통째로 외워서 통과한 후 포병장교가 되어 열심히 싸웠으며 대위까지 승진하였다.
용감하고 서민적이고 그리고 아주 평범하고 평범한 사람이 바로 '트루먼'이다. 1944년의 정·부통령선거에서 부통령에 당선되었고 1945년 4월, '얄타' 회담 직후 '루스벨트'가 뇌일혈로 별세하자 이어서 대통령이 되었다.
지도력을 검증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대통령이 되자마자 대단히 중요한 문제들을 결정하고 처리했다.
이와 관련 그는 “The bucks stop here(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라고 쓴 패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국사를 본 것으로 유명하다.
리더의 신속한 정책 판단과 용기와 결단이 요구되는 책임감을 강조하는 이 말은 지금도 널리 인용되고 있다.
그가 내린 과감하고도 단호한 결정은 지금도 전 세계적으로 역사에 회자되고 있다.
특히 대외정책에서 자신의 탁월한 지도력을 입증하고 있었다.
당시 국무장관의 이름을 붙인‘마샬 플랜’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유럽경제의 기적적인 부활을 가능케 했다.
서방국가들을 보호하기 위한 군사동맹기구인 북대서양조약기구 창설을 주도했고 1949년 마침내 뜻을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 독일의 항복을 받았고,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투하 결정을 통해 천황인 히로히토로부터 항복을 받았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미국의 대통령이었다.
UN군이 전전(戰前) 남한 경계선 위쪽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길고 무기력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하지만 트루먼은 중국, 더 나아가서는 소련과의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해 전쟁이 제한전 이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핵무기를 전쟁에서 사용하라고 명령한 국가 원수이다.
동서양에서 지도자의 덕목으로 많이 꼽히는 것 중 하나가 중요한 순간에 신속한 결심과 책임감이다.
현대사회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막스 베버도 정치 지도자가 갖춰야 할 세 가지 자질로 정열, 통찰력, 그리고 책임감을 꼽았다.
이러한 자질은 숱한 고난과 역경을 이겨낸 내공에서 나오는 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