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사들여 외환보유액 충당할 듯
위안화 거래량이 달러와 유로화를 합친 것보다 많아질 전망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의 잇따른 제재에도 불구하고 석유수지 증가로 공공재정이 안정되자 이달 중 위안화를 다시 사들여 외환보유액을 충당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 경제연구소는 5월 2일 러시아의 에너지 수입이 목표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당국이 5월 중 외환 매입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당초 거래액은 월 2억 달러(약 2681억억원) 정도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유럽 제재로 위안화가 주요 거래 통화 중 하나로 떠오른 러시아는 약 1540억 달러(한화 약 206조 4678억 원)의 포춘펀드를 위안화에 의존하고 있다.
러시아 재무부는 이번 주 후반 펀드 매각 관련 공식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예산 적자를 메우기 위해 모스크바는 외환보유액 중 위안화 자산을 매각했다.하지만 지난 두 달 동안 이 같은 매물이 줄면서 4월 전체 매물이 2월의 절반 수준에 육박했다.
프리덤홀딩스의 나탈리아 밀차코바 애널리스트는 "러시아가 비축분을 동원하는 대신 다시 외환보유액을 채우는 게 중요한데, 루블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월 러시아 연방중앙은행에 따르면 3월 러시아 외환시장에서 위안화 거래의 전체 점유율은 39%로 상승했고, 달러화 점유율은 34%로 떨어졌다.
러시아 재무부는 이미 2022년부터 달러 대신 위안화로 시장 거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말까지 러시아 금융시장에서 위안화 거래량이 달러와 유로화를 합친 것보다 많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세계적 경기 침체에 북아시아 공장 감소
- 미국, 퍼스트 리퍼블릭은행 부도
- 파라과이 대선, 산티아고 페냐 팔라시오스 승리
- 노르웨이, 국내총생산 2% 국방비 인상
- [월드e] 베트남 전기차 시장, '공기오염 심각'으로 잠재력 넘치는 시장
- [월드e] 中, 인구 고령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국가 전략 실행
- [월드e] 몽골 정부 부채 총액 80억 달러로 줄어
- 폴리페놀, 염증을 제압하는 압권(壓卷)
- 중국인 '명품 소비' 트렌드 변화... 한국 면세점 업계 영향은?
- 미국의 채무 위기, 중국 위안화를 '세계 통화'로 추진
- 中위안화, 대러 제재 덕분에 국제무역시장 점유율 4.5%... "기축통화 도전" 야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