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미-중 관계 악화로 국가들 간 무역 다각화 줄어… 세계 GDP 영향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나라”들 선호, 국가들 거시경제적 문제 직면할 것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 선진국 의존도 큰 만큼 미래 충격 우려

국제통화기금(IMF)은 수요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중 관계 악화로 발생한 글로벌 긴장이 해외 투자를 방해하고 결국 세계 총생산의 2%에 달하는 장기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내다보았다고 06일(현지시간) CNBC가 보도하였다.
IMF 보고서에서 전 세계의 기업들과 정책 입안자들이 “생산을 국내 또는 신뢰할 수 있는 국가로 제한두기 위해 이동하면서” 공급망을 보다 탄력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며, 이는 외국인 직접투자의 파편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IMF는 워싱턴 칩스 앤 사이업스 법과 같은 미국과 중국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을 배경으로 일련의 법안들을 지적하였다.
주중 미국상공회의소에서 실시 한한 최근 조사에서도 외국인 직접투자가 중국에서 빠져나가는 것으로 타나 났다고 매체는 전하였다. 조사의 응답자 절반반 미만이 중국에 직접 투자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IMF의 경제 분석가들은 이제 현금이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나라들” 로 흘러가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에 국경을 마주하거나 가까운 국가들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들은 “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들은 자본 형성의 감소와 더 나은 기술과 노하우의 이전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선진국들의 투자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라고 말하며 이들 국가들의 대한 자본흐름이 약해질 것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가들은 개발도상국들이 지정학 적으로 매우 먼 선진국들의 투자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황이 더욱더 악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IMF는 국가들이 이른바 “친구 국가”끼리만의 무역 및 투자 관계를 향상하는 것은 안정성을 보장하지만 다각화를 줄이고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취약하게 만들 것입니다.”라고 보고서에 작성하였다.
또한 “더 다양한 글로벌 가치 체인이 미래 충격의 영향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말하며 다각화의 초점을 두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