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강재 수요는 전년 대비 6.1% 증가

세계철강협회는 2022년 전 세계 강재 수요가 2021년보다 2.3% 줄어든 17억9670만t으로 떨어질 것으로 19일 전망했다고 일본 닛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이는 지난 4월 발표한 전망치(18억4020만t·0.4% 증가)보다 하향 조정한 것이다.
강재 수요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하락할 것이며, 우크라이나 사태의 움직임에 따라 수요가 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최대 소비국인 중국의 2022년 강재 수요는 2021년보다 4% 줄어든 9억1400만t으로 예상된다.
2021년과 비슷한 9억 5200만 톤으로 예상했으며 중국에서는 방역봉쇄가 영향을 미쳐 부동산 시장도 침체를 유지하고 있다.
EU와 영국의 수요는 2021년 대비 3.5% 감소한 1억5890만t으로 예상된다.
지난 전망(1.3% 감소)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지만 우크라이나 문제를 배경으로 한 에너지 가격 상승과 부품 공급망 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계 2위 소비국인 인도의 강재 수요는 2021년 대비 6.1% 증가한 1억1270만t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인프라와 자동차 수요는 견조하지만 지난 전망(7.5%)보다 하향 조정됐다.
일본은 2021년 대비 0.2% 증가한 5750만t으로 예상했다. 재료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번 전망치(1.2%)보다 강재 수요 회복 속도가 둔화됐다.
세계철강협회는 2023년 세계 강재 수요가 2022년보다 1% 늘어난 18억1470만t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고 19일 밝혔다.
인도 등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은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예산된다.
관련기사
- 전문가들, 엔화 약세지만 일본 기업 상당수 '본국 기업이전' 안할 듯
- 포르투갈 가스 비축량 "한 달분도 안 돼"
- 스페인, 의대 졸업생 ‘해외로’…인재 이탈 심각
- 남미 3국 '리튬 산업 OPEC' 설립 계획... 석유 OPEC 모방한 조직
- 시진핑 주석, “중국 경제 회복력 있어… 글로벌 관계 심화시킬 것”
- [기고] 익산 천만송이 국화축제
- 서경금속㈜ 2020년 실적발표, ‘매출액 135억, 영업이익 4억 7천’
- 서경금속㈜ 2021년 실적발표, ‘매출액 176억으로 30.12%↑’
- 인도, 철강 완제품 수입 사상 최고치… 중국산 철강 의존도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