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부족현상'과 '물 관련 피해'에 대한 대책 시급 지적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물 자원관리 분야 투자 확대 강조
전 세계적으로 수자원 관리...모니터링 및 조기경보 체계 개선 요구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세계기상기구(WMO)는 5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전 세계 수자원 문제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갈수록 심각해지는 물 관련 피해와 물 부족 압력에 대비해 수자원 관리·모니터링·조기경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간 전세계 육지 저수량인 육지 표면과 지하의 모든 물을 합해 토양의 수분과 눈, 얼음을 포함해 매년 1cm씩 떨어졌다. 최대 저수량 피해는 남극과 그린란드에서 발생하지만 인구가 많고 전통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저위도 지역에서도 막대한 저수량 피해를 겪고 있어 전 세계 물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18년 36억 명이 매년 최소 한 달 동안 물 사용량이 부족하다.2050년에는 50억 명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물 부족과 함께 기후변화로 홍수 가뭄 등 물 관련 피해도 늘고 있다. 지난 20년간 물 관련 피해 발생 빈도가 증가했다. 홍수 관련 피해가 134% 늘었고 가뭄 횟수와 지속 기간도 29% 증가했다.

보고서는 국제사회의 긴급행동으로 수자원 관리를 개선하고 종합적인 물·기후 정책을 채택랄 것을 강력히 권고하며 물이라는 소중한 자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모든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후변화 적응, 재해 위험을 줄이기 위한 공통적인 국제사회 목표의 기초라고 지적했다. 

또한 WMO는 "기상·수자원 관련 국가 기관의 약 60%가 물과 관련한 기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됐다"며 "다가오는 물 위기에 깨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