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몰래 까는 방법 안내 등 안내...개인정보 유출
-미국연방거래위원회 이례적 '사업 정지' 명령

사진= 픽사베이 제공.
사진= 픽사베이 제공.

미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중 '스파이폰(SpyFone)'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해당 사업자를 대상으로 '사업 정지' 명령을 내리며 제동을 걸었다.

'스파이폰'은 안드로이드폰 기반의 앱으로  서비스 이용자들이 목적으로 삼는 휴대폰에 소프트웨어를 몰래 까는 방법을 안내해 주는 서비스다. 제3자의 휴대폰 사용 내역과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어 미국내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훔쳐보기' 심리를 자극한 결과 서비스 가입자는 폭발적으로 늘어 났지만 개인 정보유출이 문제였다. 미국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 2일(현지시간) 사생활 감시와 스토킹 등에 이용돼온 스파이폰에 대해 사업 금지 명령을 전격적으로 결정했다.

FTC 측은 명령서에서 "이 회사가 자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타인의 스마트폰에 소프트웨어를 몰래 까는 방법 등을 안내해 주는 방식으로 타인의 정보를 훔쳐볼 수 있도록 하는 대가로 사업을 영위해 왔다"고 밝혔다.

또 "지난 2018년에는 이 앱을 통해 취득한 사용자와 그 대상이된 3자 등의 사생활 정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회사 서버에 접근한 해커에 약 2200여명의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FTC는 해당 서비스의 '사업 정지'는 물론 스파이폰 앱의 운영과 사업을 주관하고 있는 '서포트킹'이란 모회사와 이 회사 최고경영자(CEO) 스콧 주커먼 등을 상대로 동종 사업을 금지하도록 동의명령도 함께 내린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매체 CNBC 등은 "FTC가 이런 종류의 앱을 규제 대상으로 다룬 것은 이번이 2번째 이지만 '사업 금지' 명령까지 내린 것은 처음"이라며 "FTC는 문제의 앱이 깔린 사실을 피해자들에게 통보토록 하는 조치명령도 내렸다"고 전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