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이보영 기자] 이제는 식품 판매 매장 계산대에서 바로 부적합 식품의 판매를 차단할 수 있게된다.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부적합 식품을 적발 즉시 신속하게 판매차단 할 수 있는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대형할인매장, 편의점, 슈퍼마켓 등 유통업체에서 식자재 유통업체와 중·소 식품판매 매장 등으로 확대해 올해 말까지 1만여 곳에 추가 설치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은 위해식품 정보(바코드 포함)를 판매업체에 전송하면 매장 계산대에서 해당 식품의 판매(결제)를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대한상공회의소와 협업하여 2009년부터 도입됐다.
해당 시스템은 식약처의 통합식품안전정보망과 대한상공회의소의 유통물류시스템을 연계한 대표적인 민관협력 식품안전관리시스템으로, 영업자의 자율적 참여로 설치·운영되고 있다.
현재 전국 대부분의 대형할인매장, 편의점, 슈퍼마켓 등 유통업체 7만 8천여 곳에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하루 평균 2천 5백만 여명 정도가 해당 매장을 통해 안심 쇼핑을 즐기고 있다.
최근에는 집단급식소와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위해식품이 주문‧배송되어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집단급식소와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위해식품이 주문‧배송되어 사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중·소 개인 식품판매 매장에는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 설치를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식약처는 "위해식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소비자가 안심하고 쇼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내 유통 P&G 기저귀, 다이옥신·살충제 성분 검출되지 않아
- 회수 대상 의료기기, 유통 현장에서 바로 차단...식약처, ‘위해의료기기 판매차단시스템’ 도입‧운영
- 어린이용 건강식품 화학첨가물, 법적으로 제한한다
- 식품 이물 신고건수, '이물보고 의무화' 시행후 절반으로 감소
- 식약처, 올해 백신 자급률 50%로 높인다...-‘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 확대․운영
- 사용불가 원료 사용, 불법도축 등 지난해 식품위생 법규 위반업체 무더기 적발
- 식품 표시, 알기 쉽게 바뀐다...유통기한 등 필수정보 표로 표시
- 뉴스테이 입주 정보 문자로 받는다...국토부, 입주희망자 “뉴스테이프렌즈” 모집
- 환경부, 전기차 완속충전기 신청 접수…공용 충전기 대폭 확대
-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 1단계 서비스 시작...리콜 정보· 피해 구제 신청이 원스톱으로
- 브라질산 닭고기 유통판매 잠정 금지...중국 ·칠레 등도 중단 참여
- 정부, "브라질산 부패 닭고기, 한국에 수출된 적 없다"...브라질 정부로부터 확인
- 홍수 발생시 3분내에 긴급재난문자 발송...정부, 긴급재난문자 발송시스템 구축
- 아토스ㆍ유큐브, 체육진흥공단 발주 용역 입찰담합...검찰 고발
이보영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