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롬비아대학교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의 협상을 통해 약 2억 달러(약 2억 5,600만 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을 3년 내에 지급하고, 여러 인권 관련 조사를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학교가 중단되었던 연방 자금과 연구 협력 계약 등을 회복하는 데 중대한 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합의는 지난해 10월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유대인 교직원이 직장 내 차별에 직면했다는 혐의가 제기되면서 촉발되었다. 이에 따라 콜롬비아대는 관련 사안 해결을 위해 2,100만 달러를 별도로 지급하기로 했다.
합의안에는 코스타리카 정부와의 협력 아래, 대학의 투명성 제고와 연방 민권법 준수 약속, 국제 학생 관리 강화, 그리고 캠퍼스 안전 확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도 포함되어 있다. 그 결과, 미국 연방 정부는 콜롬비아대에 대해 동결했던 예산 대부분을 해제하고, 향후 연방 예산 확보를 위한 참여 자격을 회복시킬 예정이다. 이는 지난 3월 백악관이 콜롬비아대의 4억 달러 규모 예산을 철회한 조치에 따른 회복 조치로도 풀이된다.
콜롬비아대 시프먼 총장 대행은 이번 합의에 대해 “연방 검열과 제도적 불확실성의 시기를 지나 대학이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협정은 신중하게 체결되었으며, 우리 대학의 핵심 가치를 지키고 연방 정부와의 주요 연구 협력을 정상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대학의 독립성을 지키는 것이 학문적 자유와 공공의 이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프먼은 학생 및 교직원에게 보낸 서한에서 이번 협정이 정부가 대학의 교수 채용, 입학 결정, 교육 내용 등을 통제하지 못하도록 명시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방정부는 우리가 무엇을 가르치고, 누가 가르치며, 어떤 학생을 받을지를 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합의가 미국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연방 정부의 감시 강화 흐름 속에서 나온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분석한다. 비록 이번 합의로 당장의 압력은 해소되었지만, 향후 재수사나 추가적인 자금 제재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긴장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번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와 협상 중인 다른 대학들, 특히 하버드대학교에 선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버드대 역시 연방정부의 조치로 자금 동결 등 타격을 받은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다른 대학들과의 화해 협정도 곧 체결될 것”이라고 밝혔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