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논어(論語)에는 공자가 말한 자절사(子絶四)가 있는데, 여기서 絶四는 '네 가지를 끊다'라는 의미이다. 즉, 네 가지는 절대 하지 말라는 얘기다.

공자가 오랜 경험과 통찰을 통해 절대하지 말 것을 강조했을 만큼 중요한 덕목(德目)인 것이디.

무의(毋意), 무필(毋必), 
무고(毋固), 무아(毋我).

첫째, 무의(毋意): 함부로 억측 추측하지 마라. 

상식과 편견은 종이 한 장 차이다. 모든 일을 조사하며 진행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자기 직감(直感)에만 의존하는 것도 위험하다.

어떤 것을 예단(豫斷)하기 전에 그것이 진실과 다름이 없는지, 지나치게 편견에 의존한 판단은 아닌지 늘 경계해야 한다.

둘째, 무필(毋必):자신만 옳다고 믿지 마라. 

옳고 그름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세상에 100% 한쪽만 진리인 건 없으며 설령 맞더라도 조건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기 믿음도 중요하지만, 그걸 만고불변의 진리처럼 믿고 내세우면 주위에 적이 많아진다.

특별히 대단한 사안(事案)이 아니라면 주변사람과 의견 충돌은 '다름'으로 풀어 나가야지, '옳고 그름'으로 풀어선 안 된다. 

셋째, 무고(毋固): 끝까지 고집 부리지 마라. 

살다 보면 자기 주관을 관철해야 하는 순간이 분명히 있다. 특히 결단력이 중요한 리더라면 더 그렇다.

그런 순간에 책임감을 바탕으로 밀어 붙이는 추진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 그렇게까지 추진해야 할 일은 별로 없다. 

사소한 거 하나 하나 자기 뜻대로 해야하는 사람은 정작 중요한 일을 놓치기 쉽다. 웬만한 건 적당히 넘어가고, 중요한 것만 취할 줄 아는 요령이 중요하다.

넷째, 무아(毋我): 자신을 내세우지 마라. 

모난 돌이 정 맞는다. 우리 사회는 전면에 나서는 사람에게 그렇게 관대하지 않다. 그 사람이 잘 나선거면 잘난 척 한다고 욕하고, 그냥 나서면 나댄다고 비하한다. 

어째든 적극적인 사람을 자신감 보다는 자만감으로 느끼는 사람이 많으니 나설 땐 늘 조심해야 한다.

이 네가지 모두를 한 단어로 정리할 수 있는데 바로 '겸손'이다. 겸손한 태도는 시대를 불문하고 최고 중요한 처세술이 분명하다.

공주대학교 행정학박사 연구교수
한국의정연수원 교수
뉴스비전 칼럼니스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