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의 관세 강화 우려와 국내 경제 회복 지연이 맞물리면서 태국 소비자들의 신뢰가 3개월 연속 하락하며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태국 상공회의소 대학교가 5월 15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4월 소비자 신뢰 지수는 전월의 56.7에서 55.4로 떨어졌다.

타나와 상공회의소 대학교 총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소비자 신뢰가 계속 하락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미중 무역전쟁 및 관세 우려에 기인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국민의 소비 여력이 정체되어 내구재, 주거, 교통, 관광 등 분야에서 소비가 주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태국은 미국과의 관세 감면 협상을 진행 중이나, 오는 7월 유예기간이 종료되기 전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태국산 제품은 최대 36%에 달하는 대등관세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비차이 부총리 겸 재무장관은 14일, 워싱턴에 추가 관세 면제를 위한 무역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대부분 국가에 대해 기존의 10% 관세 수준을 유지하더라도, 이로 인해 태국의 경제성장률은 최대 1%포인트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태국 재무부는 이달 초 올해 경제성장 전망치를 기존의 3%에서 2.1%로 하향 조정했다.

정부는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 부양책을 재점검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제3단계 디지털 지갑 계획’이 있다. 이 계획은 국민에게 1만 바트(약 388 싱가포르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총예산은 약 270억 바트로 예상된다. 그러나 앞선 두 차례의 현금 지원이 실질적인 경기 부양 효과를 내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페통탄 총리는 16일 베트남 방문을 앞두고 “현금 지원이 취소된 것은 아니며, 정부는 경제 여건과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을 면밀히 검토해 가장 효과적인 부양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국은 미중 간 무역전쟁의 충격파를 정면으로 맞고 있는 아시아 신흥국 중 하나로, 관세 협상 결과와 정부의 대응 조치가 향후 경제 회복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