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인구 감소 문제는 국가적 위기상황으로 규정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저출산 대응 컨트롤타워인 ‘저출생대응기획부’ 신설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지방분권화 및 국토 균형 발전 측면에서 지방소멸 대응은 이제 광 역지자체의 주요 아젠다가 되었다.
지방 인구소멸은 빈집과도 직결되어 있다.
빈집이 가장 많은 곳은 전북 군산으로 나타났다.
광역시·도 중에서는 전남이 최고 많았다.
전국에서 기초지자체 중 빈집이 가장 많은 곳은 군산(3672호), 여수(2768호), 전주(2160호), 정읍(2060호), 부산 서구(1865호), 익산(1862호), 대구 동구(1849호), 진주(1843호)순으로 나타났다.
호남(전남·전북)의 빈집 상황이 심각하게 드러났는데 그만큼 지역 경제도 침체되어 있다는 방증이다.
이와 관련 빈집 대책 관련 지원 기금의 활용 범위도 넓혀,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인구정책 추진을 독려한다는 방침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기업군 유치로 양질의 첨단 일자리 창출과 직결되어 있다.
관련기사
권원배 기자
kwbman@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