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 개선 사항 권고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부룬디 대통령이 4년 전 취임했을 때 변화에 대한 희망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억압의 물결'로 통치를 계속하고 있다고 국제앰네스티가 20일  밝혔다고 이날 아랍뉴스가 전했다.

인권 옹호자, 언론인, 야당 의원들은 여전히 협박, 괴롭힘, 자의적 구금, 부당한 기소의 대상이라고 앰네스티는 새로운 보고서에서 밝혔다.

피에르 은쿠룬지자 대통령의 예기치 못한 사망으로 2020년 6월 집권한 은다이시미예는 권리 남용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고 있지만 전임자의 혼란스럽고 피비린내 나는 통치하에서 수년간의 고립을 서서히 종식시켜 국제사회로부터 찬사를 받고 있다.

2015년, 은쿠룬지자의 3선 출마는 시위와 실패한 쿠데타를 촉발시켰고, 폭력으로 최소 1,200명이 사망했고, 약 40만 명이 해외로 도피했다.

국제앰네스티는 은다이시미예가 지구상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에서 지휘봉을 잡은 후, 몇몇 인권 운동가들과 언론인들이 대통령 취임 첫 해 동안 석방되는 등 시민 사회와 언론에 대한 "목을 놓으려는" 징후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계속되는 억압의 물결은 시민 사회에 대한 정부의 의미 있는 접근 방식의 변화와 이 나라의 시급한 인권 문제에 대한 논의의 공간을 열어줄 것이라는 희망을 깨뜨렸다," 라고 티게레 차구타 동아프리카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 앰네스티 지역 책임자가 말했다.

부룬디 정부의 제롬 니욘지마 대변인은 AFP 통신과의 접촉에서 앰네스티의 보고서 내용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억압받는 사람들"의 명단을 요구했다.

유럽 연합은 2022년에 부룬디에 대한 재정 지원을 재개했는데, 이는 전년도 미국의 유사한 결정에 따라 은다이시미예 하에서 "새로운 희망의 창"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앰네스티는 차구타가 종종 "가짜 혐의"라고 말한 것에 대해 인권 운동가, 언론인, 시민 사회 구성원들이 여전히 체포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온라인 토론에서 제기된 것으로 알려진 발언에 대해 "국토의 환경성을 훼손"한 혐의로 2023년 징역 10년을 선고받은 플로리안 이랑가비예의 사례를 강조했다.

이란가비예는 지난 18일  전격적인 대통령 사면 이후 2년 만에 감옥에 갇혔다가 풀려났다.

2023년 2월에도 5명의 권리 운동가가 체포되어 내란 혐의로 기소되어 내부 국가 안보와 공공 재정의 기능을 훼손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