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급격히 감소
코로나19가 뇌졸중의 자리를 대체, 인구 10만 명당 94명이 사망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같은 일부 지역의 기대 수명이 가장 늘어나

4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경제뉴스망에 따르면 랜싯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1990~2021년 사이에 전 세계 기대수명이 6.2년 증가했다.
이 연구는 사망의 주요 원인과 그 변화, 코로나19 팬데믹의 출현과 이러한 지표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전 세계,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상황을 평가했다.
연구원들은 1990년에서 2019년 사이에 허혈성 심장병, 뇌졸중, 만성 폐쇄성 폐질환 및 하기도 감염의 주요 사망 원인 순위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으로 지적했다.하지만 2021년에는 코로나19 이후 상황이 바뀌어 코로나19가 뇌졸중의 자리를 대체하면서 인구 10만 명당 94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장 감염, 하기도 감염, 설사, 말라리아, 에이즈, 결핵, 암 및 신생아 질환의 의료 발전으로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게 되었다.
설사와 장티푸스를 포함한 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1990년에서 2021년 사이에 전 세계 기대 수명이 1.1년 증가했다.같은 기간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가 줄면서 전 세계 기대 수명이 0.9년 늘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설사 질환의 통제로 인해 이 지역의 기대 수명이 10.7세로 늘어났다.
이어 동남아·동아시아·오세아니아로 1990~2021년 기대수명이 8.3세 순증했다.남아시아가 7.8세로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질병 패턴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사망률을 줄이는 전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이며 공중 보건 개입이 성공적으로 구현된 영역을 드러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자들은 국제사회가 허혈성 심장병, 뇌졸중 및 기타 비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기 위한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의 생명구조 도구가 자원이 제한된 국가에서도 모든 국민에게 혜택을 줄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