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지난달에만 외국인들이 4조원 넘게 주식과 채권을 사들였다.

지난해 외국인 투자기업 투자액은 약 327억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외국인들의 순매수는 미국이 경기 하강에도 주식시장이 3년 활황에 신고점을 찍자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그간 하락했던 신흥시장으로 흘러 들어온 돈이라는 분석이다.

또한 한국(기업)의 성장가능성과 주식 가치의 저평가 되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이 15일 발표한 '1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상장주식 3조 3530억원, 상장채권 8090억원 등 총 4조1620억원 순투자했다. 주식은 3개월 연속 순매수이며, 채권 1개월 만에 순투자 전환이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규모가 704조원, 시총의 27.6% 수준이다.

그런데 연초부터 외국인들의 바이코리아 추세 덕분에 다시 비중이 높아져 2024년 2월 현재 29.4%를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기업의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통한 주주환원율이 낮아 외국인도 외면하고 있다.

특히 주가장부가비율(PBR)이 낮아 저평가되어 있다고 한다. 

이익성장성(PER) 지표나 미래성장잠재력(PDR: Price Dream Ratio) 지표로 평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와 관련 외국인을 통해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해소하고 싶다면 GDP 성장률을 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한국경제 성장(율)의 연비가 떨어지면서 2022년에는 GDP총규모가 13위까지 밀려난 상태다. 2023년에도 14위인 호주가 턱밑까지 쫓아와 더 밀려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1%대 저성장 충격"이 현실화 했다는 점이다. 한국 경제가 1960년 이후 지난 60여 년 동안 성장률이 1%대 이하로 떨어진 사례는 다섯 차례뿐이었다. 

이 중에서도 4차례의 경제위기를 제외하면(나머지 한번은 2020년 코로나 사태) 1%대 성장은 2023년이 유일한데, 사실상 금융위기에 준하는 비상 경제 상황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결국 외국인투자가 잡으려면 성장률 높이는 것이 답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외국인 투자 유치를 이끌어 내려면 북한으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정부의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우대정책, 기업의 회계 투명성, 기업 지배구조, 정부 정책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한국이 전 세계에서 기업 하기 가장 좋은 나라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으려면  최고의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규제를 혁파하고 인센티브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외국인 투자 활성화, 한국 주식 디스카운트 해소 내지는 탈피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좋은 투자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