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문둥병인 나병(癩病)으로 고생하다 생을 마친 세조의 삶을 조명합니다.

세조(世祖,1417~1468)는 조선의 제 7대 임금(재위기간 1455~1468)으로서 역사적으로 공과(功過)가 엇갈리는 평가를 받는 왕입니다.

조선의 왕 중에서 왕세자를 거치지 않고 즉위한 최초의 왕이며, 반정(反正)을 일으켜 왕권을 찬탈한 첫 임금이기도 합니다.

조선의 제 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둘째 왕자로 태어났고, 제 6대 임금인 단종의 숙부였으며 즉위 전의 호칭은 수양(首陽)대군이었습니다.

1453년(단종 1년), 수양대군은 계유정란(癸酉靖難)을 일으켜 자신의 동생이자 세종의 셋째 왕자였던 안평대군, 김종서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여 나이 어린 왕의 뒤에서 섭정(攝政)을 실시합니다.

당시 단종의 나이가 12살이었으니 아직 세상 물정을 모르는 아이였는데 수양대군은 자신의 권력욕을 뒤로 감추고 왕실의 안정을 꾀한다는 명분으로 왕을 꼭두각시로 만든 것입니다.

이에 반발한 신하들을 무차별적으로 살륙함으로써 일단 왕실은 안정된 것처럼 보였으나 1455년(단종 3년), 단종이 스스로 숙부(叔父)인 수양대군에게 양위(讓位)하는 형식으로 왕권을 넘기지만 실제로는 수양대군이 왕권을 무력으로 찬탈한 것이었습니다.

단종의 복위 운동은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세조는 사육신으로 일컫는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 당사자는 물론, 그들의 가족들까지 역모죄를 뒤집어 씌워 살륙하는 만행을 저지릅니다.

이로 인해 세조는 자신의 정적들을 제거함으로써 왕권의 안정은 이루었지만 자신의 양심까지는 안정시키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집권 후에 나라는 어느 정도 평온을 되찾았지만 세조 자신은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정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임금이 되고나서 궁중의 지나친 육식과 탄수화물 위주의 고칼로리 음식에다 운동 부족은 임금의 육체를 망가뜨리기에 충분했고, 정권을 찬탈하는 과정에서 조카인 단종을 비롯, 많은 충신들을 죽인 그 원죄가 마음에 병으로 남음으로써 세조는 집권 후반기로 가면서 온 몸이 만신창이가 됨과 함께 가족들에게까지 화가 미치게 됩니다.

세조가 즉위한 지 3년 만에 왕위 계승 서열 1위이자 원자(元子)였던 의경세자(덕종)가 갑자기 죽었고, 그 후 둘째 아들인 해양대군을 왕세자로 책봉하였는데 세조 7년에는 세자빈이 손주를 낳고 5일 만에 사망합니다.

불행은 여기서 끝이 아니었습니다.

2년 후인 세조 9년에는 해양대군의 아들인 손자까지 절명합니다.

세조는 잇단 가족들의 죽음으로 심한 공포에 휩싸이게 되었고 자신의 질병도 날이 갈수록 심해지면서 불교에 귀의하게 됩니다.

조선시대에는 개국 공신인 정도전의 영향으로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을 펼쳐왔는데 세조는 자신이 지은 죄과가 자신의 건강과 가족들의 안위까지 좌우한다고 여겨 불교에 심취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세조는 40대 후반부터 거동이 어려울 정도로 건강상태가 악화되었고, 명의를 찾거나, 온천, 사찰 등으로 치유를 하러 전국을 찾아다니게 됩니다.

그러던 중에 강원도 오대산 깊은 골짜기에 위치한 상원사에 들러 한동안 머물렀던 이야기가 설화(說話) 형태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세조는 한센병으로 알려진 나병(癩病)으로 승하하셨다고 전해집니다.

피부병이나 관절질환, 나병 등은 풍습(風濕)이 원인으로 생기는 병입니다.

세조가 상원사에 머물면서 하루는 절 앞으로 흐르는 계곡의 냇가에서 목욕을 하고 있는데 마침 지나가던 동승(童僧:나이가 어린 승려)을 발견하고 그 동승에게 자신의 등을 밀어줄 것을 부탁합니다.

동승의 도움으로 목욕을 마친 세조는 동승에게 "왕의 옥체를 씻어주고, 왕의 몸에 종기(腫氣)가 있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리지 말라"고 했더니 동승이 오히려 "문수보살을 직접 보았다고 하지마라"는 말을 남기고 홀연히 사라졌습니다.

*문수보살(文殊菩薩):석가모니여래의 왼쪽에 있는 보살
*보살(菩薩):부처와 버금가는 성인(聖人)

세조가 놀라서 주변을 찾아보았지만 동승의 흔적은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 후에 세조를 괴롭히던 피부병은 말끔히 나았다고 합니다.

문수보살의 은덕으로 불치병을 낫게된 세조는 감동하였고, 이를 전해들은 세조의 딸 의숙공주 부부가 1466년 세조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화공(畫工)을 불러 동승의 모습을 그리게 하고, 나무로 조각상을 만들어 상원사에 비치케 하니 그것이 현존하는 국보 제 221호인 상원사의 문수동자상입니다.

어느 시대이건 왕들은 대다수가 등창이나 피부병 등을 심하게 앓았습니다.

운동을 거의 하지 않는 데다 과중한 업무 등으로 스트레스도 심했을 터인데 여기에 지나친 육식과 고칼로리 음식 등이 고콜레스테롤증을 유발함으로써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역사의 풍운아였던 세조는 결국 51세에 나병(癩病)으로 승하(昇遐)하게 됩니다.

이런 역사를 살펴보면서 필자는 서글픔을 느낍니다.

세조의 지은 죄는 밉지만 그래도 조선 건국초기의 어수선한 분위기를 잡고 나라의 기틀을 굳건하게 세운 임금이라는 측면에서 그가 건강하게 집무를 더 수행할 수 있었더라면 하는 바램 때문입니다.

배대열 칼럼니스트 BDYTYY@nvp.co.kr

 

※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