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말 기준, 개인 평균 47.7평방미터의 주거 공간과 2.3개의 방 사용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독일이 심각하게 주택난을 걲고 있는 가운데 독일 국민들은 평균적으로 점점 더 넓은 주거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통계 결과가 발표되었다. 

연방 통계청 자료를 인용한 독일 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한 사람이 평균 47.7평방미터의 주거 공간과 2.3개의 방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30년 만에 1인당 주거 공간이 약 37% 증가한 수치이다. 지난 자료에 따르면 1991년에는 독일 국민들은 1인당 평균 34.9평방미터의 주거 공간과 1.8개의 방에서 생활했었다.

또한 통계청은 지난 30년 동안 주거 공간의 평균 크기가 82평방미터에서 92평방미터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통계청은 "사회가 변화하고 부가 증가함에 따라 독일 사람들이 소유하거나 임대한 방의 크기와 주택 시설에 대한 요구도 수십 년 동안 증가했다“고 이번 자료를 분석했다.

독일의 주택난은 여전히 심각한 가운데 높은 이민자 수로 인해 주택에 대한 수요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연방 정부는 연간 40만 채의 아파트 건설을 목표로 설정했다. 

그러나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는 1950년부터 2022년까지의 평균보다 27% 적은 29만5300 채의 주택만 완공되었다.

1950년 독일 건설 통계가 시작된 이래 연평균 40만5000 채의 주택이 독일에서 새로 지어졌었다.

주택 건설 수가 최고로 높았던 시기는 1973 년 구 연방 영토에서 71만4200 채의 주택이 완공된 해였다. 

통일 후에는 1995년에 약 60만2800 채가 건설된 해가 기록적인 해였으며,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때 15만9000 채로 최저점을 기록했었다. 전체적으로 독일의 주택 수는 1950년부터 2021년까지 거의 세 배 증가한 4310만 채에 달했다.

그러나 최근 높은 금리와 비싼 건축 자재로 인해 신규 건설은 심각한 정체 상태에 빠졌다. 독일 경제연구소는 올해 완공될 아파트가 27만 5000채에 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