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내연기관과 인터넷 등에 버금가는 발명품'으로 평가
프라이버시 보호와 투명성 확보 등이 요구

일본 정부가 11일 총리 관저에서 처음으로 'AI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AI(인공지능) 관련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2일 보도했다.
활용과 통제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기술, 규칙 및 교육에 대한 광범위한 논의를 수행했다.
논의 내용은 정부 방침과 G7 등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국제규범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챗GPT 등 생성식 AI가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술개발과 활용 외에 프라이버시 보호와 투명성 확보 등이 요구된다.
AI에 정통한 연구자와 IT기업 경영자, 변호사 등 8명이 이 자리에서 과제와 리스크 등에 대한 의견을 피력했다.
생성적 AI는 '내연기관과 인터넷 등에 버금가는 발명품'으로 평가돼 사회를 크게 바꿀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일본은 이 분야에서 뒤처져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개인정보 유출과 침해에 대한 우려는 뿌리가 깊다.
회의를 주재한 마쓰오 유타카(松松表示) 도쿄대 교수는 언론에 "전 세계가 각종 규칙 제정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일본이 논의를 이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본이 서두르는 배경에는 19일 히로시마에서 G7 정상회의가 열리기 때문이다.
일본은 의장국으로서 4월 말 디지털·기술장관회의에서 '책임 있는 AI'를 위한 표준 제정을 추진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기시다 일본 총리는 "G7 정상회의에서 합의와 규칙 제정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AI를 둘러싼 무게중심이 나라마다 달라 기술적·제도적 측면에서 일본이 주도적으로 논의하지 못하고 있다.
문부과학성 연구소의 통계에 따르면 주요 국제회의에서 미국이 발표한 AI 연구 성과는 분명히 많고, 일부 학회에서는 중국과 미국이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분명 일본은 미·중 양국에 크게 뒤처져 있다.
대형 IT기업은 AI 연구개발 경쟁의 주역이고, 미국에는 많은 IT기업이 있다.바이든 정부는 기업들이 AI 안전성을 확인하도록 하는 등 규칙 제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생성적 AI는 개인정보 수집으로 인한 사생활 침해, 저작권 침해, 거대 IT기업에게 데이터와 권한이 집중되는 리스크로 지적됐다.
다만 AI전략회의가 어디에 무게중심을 두고 규칙 제정을 추진할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