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세계 설탕 생산국이자 소비국가
세계 2위 설탕 수출국, 금년 5월부터 수출제한 조치 실시

세계 2위의 설탕 수출국인 인도는 설탕 수출 한도를 대폭 줄였다.
세계 설탕 공급은 최대 설탕 수출국인 브라질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부족했으며 인도의 최근 조치는 공급 부족 상황을 악화시키고 설탕 가격을 더욱 상승시킬 것이다.
이와 관련 10월 말부터 뉴욕 시장의 설탕 가격은 6% 이상 상승했다.
인도 곡물 담당부서는 2023년 5월 31일 현재 전국 설탕 수출 총액이 600만 톤으로 제한될 것이라고 설탕 공장에 통지했으며 2023년 10월까지 더 많은 수출이 허용될 수 있다.
앞서 인도는 2022-2023 파쇄기(즉, 2022년 10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생산 기간) 동안 설탕 수출 총량을 900만 톤으로 제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첫 번째 단계 제한 600만 톤, 두 번째 단계 제한 300만 톤), 2021-2022 파쇄기 수출 총량 1120만 톤에 비해 20% 감소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의 격화로 인해 세계 곡물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인도 국내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주요 농산물은 수출 제한 조치를 연속적으로 도입했다.
인도 정부는 당초 설탕 수출을 통제하지 않았지만 올해 5월 국내 설탕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수출 제한을 제정해 올해 10월까지 유효하다.
인도 정부는 지난달 설탕 수출 제한을 내년 10월 31일까지 1년 연장한다고 발표했지만 관세율 할당량에 따라 EU와 미국으로 수출되는 설탕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인도 설탕 공장 협회는 올해 인도의 설탕 생산량이 3550만 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설탕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및 기타 국가로 수출될 것이다.
인도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는 현재 세계 최대 설탕 생산국이자 세계 최대 설탕 소비국이다.
인도에는 전국에 537개의 설탕 공장이 있다.
대형 농산물 무역회사인 Meir Commodities의 라시르 사장은 전국의 제당공장이 220만 톤의 설탕을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