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납세의무 연구용역 발주

정부가 해외직구(직접 구매) 물품 구매대행업자에게 납세 의무 등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8월 15일 관세청은 최근 ‘전자상거래 환경변화에 대응한 관세행정 운영 방향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해외직구 등 전자상거래가 급증하면서 관세 행정의 새로운 운영 방향을 모색해본다는 취지로 제안요청서에서 구매대행업자의 성실신고를 확보하기 위해 구매대행업자에게 의무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밝혔다.
‘구매대행’이란 해외직구입을 할 때 구매자(화주)가 대행업체에 물품 가격, 물류비, 수수료 등을 지불하고 구매부터 대행까지 모든 절차를 위임하는 방식을 말한다.
구매대행업자가 모든 절차를 담당하지만, 관세 등의 납세의무는 구매자가 지게 돼 있어 구매대행업자가 정보의 비대칭성을 악용, 실제 구매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고해 관세 등을 포탈해도 납세 의무를 진 구매자에게 책임과 피해가 전가됐다.
관세청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2020년 구매대행업자에게 연대 납세 의무를 부과해 대행업자가 관세를 포탈했을 때 세를 부담하고 처벌받도록 한 것이다.
관세청은 더 나아가 납세 의무 등을 구매대행업자에게 부과하는 식으로 의무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해외직구 이용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주요한 무역 주체로 떠오른 구매대행업자를 제도권에 편입‧관리하겠다는 심산이다.
관세청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입점자, 자체 사이트 운영자, 해외 배송업자(특송업자) 등 새로운 무역 거래자를 관리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들에게 세관등록·부호발급 등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 서류보관 의무부여 방안, 관세조사 대상 여부 등을 살펴본다.
관세청은 지난달부터 직전 연도 구매 대행 금액이 10억원 이상인 구매대행업자는 반드시 세관에 등록하도록 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다각도로 검토하는 단계로 구체적인 방향성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관련기사
- 관세청, 14개 아프리카 관세당국과 무역정책 연수회
- 관세청-한국관세사회, RCEP 대비한 업무협약 체결
- 관세청, 5월 가정의 달 불법 수입물품 특별단속
- 관세청, 5월 국내 반입 불법 수입 선물용품 797억어치 대량 적발...171명 고발
- 관세청, 해외 직구 식품및 의약품 유해성 검사 대폭 강화
- 관세청, 서울 시내면세점 4곳 추가 특허 발급.... 5~6월 만료는 예정 수순대로
- 관세청, 면세범위 초과 물품 집중 단속
- 관세청, 중국 수출거점 톈진·다롄에 FTA 전문가 파견
- 관세청장 "면세점 신규면허 요건 합리적으로 조정할것"
- 관세청, 설 맞아 제수용품등 특별단속 실시
- 11월 1일~20일 수출입 현황, 전년 동기 대비 27.6%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