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에너지, 수입품, 원자재 중심 물가상승
일은 및 정부, 통화완화 및 임금 상승 정책 계속 추진
일각에선 일본의 물가상승 대응 필요성 강조

우크라 사태 등 글로벌 공급망 타격으로 인하여 전 세계가 물가상승의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4월 일본에서 30년 만에 최고치의 물가상승률이 기록되었다고 06일(현지시간) 비즈니스 스탠더드(Business Standard)지가 보도하였다.
새롭게 경신된 물가상승률로 인하여 향후 지속적인 경기부양책의 대한 압박이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ank of Japan)에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 금요일 일본 내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신선식품을 제외한 도쿄의 소비자물가는 1년 전 보다 1.9% 상승하였다. 이는 1992년 12월 이후 가장 빠른 증가 속도였다.
일본의 물가 표준으로 여겨지는 도쿄의 물가상승률이 당초 일본은행이 예측한 2%에 빠르게 가까워지고 있는 가운데 일각에선 일본 정부의 통화완화 정책에 큰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지난주 일본은행이 발표한 대출비용 완화 정책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4월 물가상승률이 일본 정부의 통화완화 정책에 차질을 빚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일본의 물가 모멘텀이 약한 것은 견실한 임금 상승 등 국내 요인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에 일본은행은 금융완화 정책을 계속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였다.
일본은행이 고수하는 입장의 관련하여 블룸버그 경제지는 “물가 상승은 대부분 수입 식품과 에너지 비용 상승과 함께 기술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지 일본은행이 건드리고 있는 임금과 큰 연관성이 없다. 이러한 사실들이 일본은행으로 하여금 통화완화 정책 고수에 힘을 실어주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평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세를 보이는 물가상승률은 궁극적으로 일본은행의 입장을 바꾸게 만들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와 관련 일본 NLI 연구소의 타로 사이토 경제연구실장은 “엔화 약세는 모든 수입품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 광범위한 제품에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킬 것입니다.”라고 말하였다. 더불어 그는 “물가상승은 더 이상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주 여름 총선을 앞두고 물가 상승이 가계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지출 대책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일본은행이 통화완화를 유지하는 동안 정부가 엔화 약세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하여 노력할 것임을 시사하는 발표로 평가되었다.
사이토 NLI 경제연구실장은 임금 상승과 물가상승을 동시에 목도하고 있는 일본과 같은 케이스가 드물다며 일본은행과 정부의 입장에 일부 동의하며 “저는 이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일본은행의 견해에 동의합니다.”라고 말하였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일본과 인도, EV 충전기 공동 개발 계획
- 일본 총합연구소, 중국과 EV 배터리 잔여가치 평가 및 서비스 상용화 계약 체결
- [Inside] NY 다우지수, 한때 1300달러 하락
- 日,아동인구 41년 연속 감소... 생산성 약화로 이어져
- [Inside] 일본 노무라 연구소(NRI), 미 연준의 금리인상 수준과 향후 전망 발표
- [Inside] 호주, 10여 년 만에 처음 금리 인상...인플에이션 억제
- [비전ON] 일본 초중고생, 코로나로 10명 중 2명 우울증상
- 일본 아시아경제연구소, 최근 인민은행 기자 회견 내용 발표
- 오스트리아, 관광산업 위축과 해외투자 축소... 재정적자 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