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현지 지분 15%만 보유
독자적 결정 불가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글로벌 기업들의 '탈 러시아'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패스트푸드 체인기업 맥도날드도 철수를 선언했다. 그러나 버거킹은  법적 협약에 발목이 잡혀 사업을 철수하지 못하고 있다.

17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거킹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캐나다 레스토랑브랜즈인터내셔널(Restaurant Brands International)은 지난 주 러시아에 있는 800개 매장에 대해 추가 투자와 운영·마케팅·공급망을 비롯한 모든 지원을 중단하고 러시아 사업에 대한 지분을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복잡한 프랜차이즈 협약과 합작 투자 계약 조건으로 당장 사업을 접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버거킹은 브랜드 사용권은 물론 러시아 내 사업 전권을 파트너측에 일괄위탁하는 방식의 협약을 맺고 사업을 이어 왔다. 이는 많은 서구 기업들이  중국과 러시아 국가들에게 택해온 방식이다. 

또 다른 주요이유는 러시아 진출 당시 현재 미국의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 주요 은행 계열사와 합작 투자를 통해 사업을 벌였는데, 보유 지분이 15% 수준에 그쳐 단독으로 사업 중단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버거킹 측은 회사가 러시아 합작 투자 지분 매각 절차를 개시작했지만 상대파트너측의 동의와 러시아 당국의 승인이 필요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버거 체인점은 직원들에게 공개서한을 통해 합작회사 계약 때문에 시장에서의 영업을 즉시 중단할 수 없다고 공표했다.

버거킹은 러시아 주요 은행 계열사로 미국의 제재로 타격을 받아온 사업가 알렉산더 콜로보프, 인베스트먼트캐피털 우크라이나, VTB캐피털과의 합작법인을 통해 러시아에 진출했다.

버거킹은 러시아 현지에서의 일상적인 운영과 감독을 맡고 있는 콜로보프와 접촉해 ”러시아 내 버거킹 레스토랑 운영 중단을 요구했다”고 밝혔지만 러시아 파트너 콜로보프는 거절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스펜서(M&S)와 글로벌 호텔 그룹 메리어트, 아코르도 같은 이유로 철수에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