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요금 '인상러쉬'와 함께...스태그플레이션에 우려 제기
엄격한 '이민 정책', 화근 되어 근로 인력 부족 및 임금 인상 초래
물가인상으로 이어져... 영국 경제에 악 영향 미칠 전망
영국의 '브렉시트 정책' 재검토 가능성 제기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에너지 요금 인상, 생필품 가격 인상, 심각한 노동력 부족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부터 영국의 경제 회복을 지연시킬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1978-79년 영국 경제를 굴복시켰던 '파업의 물결'에 버금가는 성장 정체와 높은 인플레이션의 악몽인 침체와 물가폭등이 합쳐진 '스태그플레이션' (stagnation+inflation) 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 29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에 따르면 공급망 지연, 식량과 에너지 비용 상승 등 문제는 미국, 중국, 독일 등 몇몇 주요 국가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영국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때문에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영국 정부가 추구하는 브렉시트의 형태는 엄격한 이민 정책을 도입하면서 영국 기업들이 유럽 노동자들을 고용하는 것을 훨씬 더 어렵게 만들었고 영국 최대의 무역 파트너와 거래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드는 상황이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 정부의 이민 정책은 영국으로 오는 저숙련 외국 노동자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불과 5%의 영국 실업률 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주장했다. 하지만 영국이 "저렴한 저숙련 노동력에 의존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조 마셜 독립 싱크탱크 정부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만약 영국이 브렉시트 이후 외국인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유지했다면 노동력 부족은 덜 심각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통계청에 따르면  6월과 8월 사이에 기록적인 100만 명의 빈 일자리 상황이 발생했다. 특히 운전사의 부족은 브렉시트로 악화되었고, 이로 인해 수만 명의 유럽 다른 국가 국적자들이 영국에서 트럭 운전과 다른 직업들을 떠나게 되었다. 또한 편의점을 포함한 식당, 펍, 슈퍼마켓은 지난 달 직원 부족이나 트럭 운전사 감소로 인해 특정 재료가 배달되지 않아 일부 장소를 일시적으로 폐쇄해야 했다.

지난 주말 수천 개의 주유소도 마비된 사태도 발생했다. 영국은 서비스 스테이션이 고갈됨에 따라 영국 군대까지 동원해 연료 공급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른바  '근로자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수만 명의 결원을 메우기 위해 해외 인력을 충원해야 할 상황에 도달했다.

또한 영국 인플레이션은 8월에 기록적인 속도로 치솟았다. 

정부는 이러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외국인 트럭 운전사와 양계업 종사자 1만500명에게 임시 체류비자를 발급할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 단체들은 EU 근로자들이 자신들의 존재에 대해 더욱 적대적인 나라로 돌아오기를 원하는지 여부는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 조치가 큰 효과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정부의 조치를 평가 절하했다.

맥그리거 스미스 영국 상공회의소 회장은 단기 비자가 최대 허용 인원을 유치하더라도 "현재 우리 공급망에서 발전한 제반 문제의 규모를 다루기에는 역부족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그것을 "모닥불에 물 한 방울을 던지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리처드 그리피스 영국 가금류협의회(GC) 회장은 지난달 성명을 통해 "노동위기는 브렉시트(Brexit) 문제로서, 식음료 분야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보도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12월 초가 되면 영국 쇼핑객들은 작년 대유행의 정점에 있는 것보다 더 심각한 식료품 부족을 겪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리처드 켈리 아디모 최고경영자(CEO)에 따르면 술, 유제품, 육류, 냉동식품 등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했다. 영국 노동자들을 더 많이 끌어들이기 위해 농장과 식품 가공 공장의 임금 인상은 결국 물가 가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영국이 올해 초 추운 봄 기온과 중국의 수요 증가, 러시아로부터의 공급 감소로 인해 천연가스와 전기요금의 급상승도 이어질 전망이다. 

브렉시트 문제는 영국의 경제 회복을 더디게 할  전망이며, 영국 국민의 삶은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