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를 만나 회담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제공.
지난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리커창 중국 총리를 만나 회담하고 있다/ 사진= 뉴시스 제공.

중국내 테슬라 차량에 대한 제재 조치 등이 현실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각종 추측성 보도가 나와 논란을 키웠지만 중국 현지 상황이 특정된 소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22일 로이터 통신은 일부 중국 정부 기관이 미국 전기자동차 테슬라 차량 금지조치를 내린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에서 베이징과 상하이에 위치한 일부 중국 정부 건물에 보안 우려를 이유로 테슬라 차량의 주차를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졌다고 밝혔다.

해당 기사는 중국 현지에서 근무하는 신원을 밝히지 않은 2곳의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했다는 게 로이터 측 설명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중국 정부에 대한 언론을 대응하는 국무원 정보국(SCIO)나 테슬라차이나 관계자 모두 사안의 민감성을 의식한 듯 즉답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3월에도 미국과 유럽의 주요 외신들은 일부 중국군 부대가 테슬라 차량에 내장된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등이 군 시설 내 민감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를 이유로 테슬라 차량 구매를 꺼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추정성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중국발전포럼 화상회의를 통해 테슬라 자동차에는 주차와 차선 변경 및 기타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카메라가 여러 대 부착되어 있어 자율주행 개발에 활용하려는 것이지 중국이 우려하는 정보수집을 위한 건 아니라고 해명한 바 있다.

지난달 중국 절강성에서는 지역 행정민원센터가 자체 주차장에 테슬라 차량 출입을 제한한다는 통지문을 붙였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진의 파악에 이목이 집중되기도 했다. 해당 공고문에는 "주차 공간 부족 이유로"라는 전제가 있었지만 중국내 인터넷상을 중심으로 테슬라의 데이타 수집 문제로 출입 금지조치가 내려진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이번 조치가 중국 정부의 공식 명령인지 또 전국 공공기관에 적용이 된 건지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분명한 건 최근 중국 고객들의 국수주의 열풍과 애국심 마케팅 차원에서 테슬라 전기차를 견제하려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테슬라 차량을 두고 회사와 고객 간의 잦은 실랑이도 중국내 테슬라에 대한 국민 정서를 자극한다는 평가도 나온다. 최근 중국에서는 사고 발생 원인을 놓고 테슬라 측과 사용 고객 사이에 잡음이 방송과 언론을 통해 종종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중국내 일부 통상 전문가들은 테슬라 차량의 '정보수집 논란' 이면엔 중국내 전기차 주도권을 사이에 둔 미국과의 자존심 경쟁이 내포된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전기차 분야에서 글로벌 패권을 차지하려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이 심화됨에 중국의 본격적인 견제가 시작된 것 아니겠냐는 관점에서다. 

미국 정부가 중국과의 경쟁을 부각시키고 있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는다. 지난 18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2위 완성차업체인 포드 전기차 공장을 방문해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전기차"라며 "중국이 이 레이스에서 이기도록 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도 즉각적인 방응을 내놨다. 미국 발표 이틀만인 20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전기차 산업의 발전을 미래성장 동력으로 삼고 체계적으로 전국에 걸친 충전 인프라 확충과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시장에서 독보적 판매율 1위를 구가하던 테슬라의 입지도 달라질지 주목된다. 테슬라는 현재 상하이 공장에서 전기차 모델 세단3와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등을 생산중이지만 중국 정부가 국가 차원의 선도 계획을 천명한 만큼 중국 시장 점유율을 놓고 토종업체와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장신신 기자 kiraz0123@nvp.co.kr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