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정윤수 기자] 일본에서는 경제성장의 침체가 지속되며 AI와 로봇의 개발·보급에 따른 제4차 산업혁명이 미래 성장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큰 상황이다.
IT 조사기관 IDC재팬에 따르면 2020년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세계 로봇시장의 2/3 이상을 차지해 가장 주목할 만한 지역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2016년 로봇 관련 지출액은 104억 달러로, 2020년 일본 로봇시장은 2015년의 2.3배의 규모로 전망했다.
일본 정부도 이에 주목해 '미래 투자 회의'에서 IoT 및 AI를 활용한 제4차 산업혁명 추진을 논의 중이고, 경제산업성의 '로봇도입 실증사업'뿐만 아니라 여러 정부기관에서 로봇진흥시책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런 로봇시장의 발달로 인해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우려도 강한 상황이다. 일본 경제산업연구소가 2016년 11월 일본인 1만 명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 30%의 사람이 자신의 일자리가 AI나 로봇에 의해 대체될 것을 우려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인간과 조화를 이루는 협동로봇 도입에 나선 일본 기업들
현재 일본 정부는 로봇과 작업자의 사고방지를 위한 울타리 설치를 의무화했던 2013년 법안을 2016년부터 80W 이하 출력 로봇 대상으로는 철폐해 로봇 대표 기업이 협동로봇 시장에 참가하는 등 경쟁 본격화가 이루어지는 형국이다.
즉, 기존 로봇이 도입된 곳에 협동로봇이 도입되는 방식이 아닌, 기존의 로봇이 활용될 수 없던 영역으로 진출해 노동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이끌어나가고 있는 것이다.
하세가와요시유키 코트라 일본 도쿄무역관은 "일본 정부는 법안 정비로 협동로봇이 도입되기 원활환 환경 조성을 시작한 상황으로, 한국 정부 역시 일본의 방향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관련기사
- [AI의 진화] "인공지능(AI)도 인간의 편견을 배울수 있다"...도덕적 제어장치가 관건
- [오피니언] 4차 산업혁명, 그 득과 실
- 카카오, 인공지능연구 활성화 위한 7월 캠프에 구글 수석연구원도 참석... 최신 AI기술 강의진행
- 동부, 페이콕과 핀테크 기반 모바일결제 서비스사업 추진... 판매자용 시장 놓고 네이버페이·삼성페이에 선점
- KT, 네트워크 가상화(NFV) 기술 적용 'One Box 서비스' 출시...기업 IT 장비 통합 관리, 운영
- [4차산업과 헬스케어의 혁신] 제약업계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정부,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산업 종합대책 추진
- 아시아 노동 이민자, 코로나 이후 다시 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