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미정 기자] 13일(현지시간) 영국 배스대학교 브라이슨 교수 등이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기술을 통해 인공지능이 인간의 편견을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사회적 맥락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워드 임베딩은 사람이 입력하는 표현이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이들의 연관성을 따져서 적절히 응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함께 쓰이는 용어들을 조사하여 이를 통해 인공지능 스스로 언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실제로 연구진은 인공지능이 여자를 예술·인문계 직업과 연결한 반면 남자를 수학·이공계 직업과 연결하고, 유럽계 미국인의 이름을 긍정적인 단어와 연결한 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이름은 상대적으로 불쾌한 단어와 자주 연결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브라이슨 교수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편견을 배울 수 있다. 따라서, 도덕적 제어장치가 없는 인공지능은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데이터 윤리 관련 연구자는 인간의 차별성 판단은 근거를 알 수 있지만 알고리즘 판단의 근거는 예측할 수 없음을 강조했다.
학습한 데이터에 편견이 있다면 인공지능의 결과 값에도 편견이 들어갈 수 밖에 없다.
관련기사
이미정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