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미정 기자] IoT 기술이 일상생활 곳곳에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도어락에 IoT(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해 집이 주인을 알아보고 스스로 문을 열어주는 시대가 왔다. 따라서, 향후 방범체계에 혁신을 이끌어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 도어락에는 손잡이, 키패드, 회로기판 등이 포함되는데, 초창기에 RF카드, 지문인식, 안면인식과 같은 암호 코드 기술에 관한 출원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사전등록이 필수적인 관계로 불특정 다수에 대한 선별적 출입허용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최근 디지털 도어락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공지능이 접목되었는데, 이는 사전 등록 없이는 남자와 여자, 어른과 어린이를 정확하게 구분 못했던 기존 안면인식 기술의 약점을 극복한 것이다.
이에 따라, 여자 공중 화장실에는 여자만 출입을 허용하고, 옥상 출입문은 어른만 열수 있도록 허용하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를 조만간 일상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이 IoT화 되면서 인공지능, 대화형 스피커 등과의 결합도 가능해 졌다. 이를 통해 거실, 주방 등에서 현관까지 나가지 않고도 말로만 문을 열수 있는 시대가 열렸고, 사용자는 생활 속에서 보다 편리함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허청에 따르면 IoT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도어락의 출원은 2009년부터 5년간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가 2014년 27건, 2015년 48건 출원되는 등 매년 두 자릿수로 급증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IoT 관련 디지털 도어락 출원은 전체 디지털 도어락 출원의 1/3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관련 발명은 2003년에 국내 최초로 출원된 이후 2013년까지 총 8건에 불과했으나 2014년에만 7건 출원되는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IoT 기술 접목은 스마트폰의 등장에 따라 본격화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도어락을 열고 닫을 수 있게 했으며, 이후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기술의 발전을 견인했다.
2014년을 기점으로 한 IoT,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 디지털 도어락 출원의 증가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른 현상으로 보이며 당분간 지속될 것이 예상된다.
특허청 김용정 주거생활심사과장은 “IoT, 인공지능 등을 핵심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을 계기로 디지털 도어락 분야도 지능형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IoT, 인공지능 디지털 도어락 관련 특허출원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 밝혔다.
관련기사
- DGB대구은행, '홍채인식 복합 인증 이체 서비스' 21일 실시
- 지문인식모듈, 차세대 스마트폰 핵심 승부수 되나...국내 부품사들도 사업참여 본격 타진
- 상상이 현실로...IoT 기술 탑재 '스마트 장갑' 특허 출원 증가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오픈 ...AI 시대 기술 경쟁력 확보 가속화
- 생태계 파괴 '드론'으로 막는다...생태계 파괴 방목 염소도 드론으로 포획
- 오늘부터 전기차 급속충전기 180기 추가 설치...전기차로 전국 운행 가능
- 삼성물산 래미안 아파트, 미세먼지 안전지대로 만든다...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도입
- 이마트, 중국 진출 20년만에 완전 철수
- 구글 래리페이지가 공개한 '플라잉카'... 제트스키 공중 부양한 것과 비슷한 방식
이미정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