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이보영 기자] 영화에서 허공에 뜬 스크린에 장갑을 착용한 손과 손가락을 움직여 폴더를 열고 화면을 옮기며 사진을 확대하는 장면이 있다. 주인공이 착용했던 스마트 장갑은 센서, 디지털 및 통신의 첨단 기술과 결합해 사물인터넷(IOT, Internaet Of Things) 기술을 실현한 것으로 장갑에 결합된 센서 및 디지털 기술이 착용자의 손과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실제 환경이나 가상 환경 또는 증강 현실에서 보이는 시각 정보를 착용자가 그대로 느낄 수 있게 만들어주는 ‘가상촉감’ 기능이 장갑에 도입되고 있다.
스마트 장갑은 기존 방한, 발열, 터치와 같은 단순 기능을 지나 첨단 센서와 통신 기술을 접목해 문자, 점자, 사람의 동작 등을 인식하는 기능과 생체 신호를 측정해 활용하는 진단 및 치료 기능을 갖춘 특허가 꾸준히 출원되고 있다.
19일 특허청에 따르면, 스마트 장갑 분야의 특허 출원은 센서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최근 5년간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장갑 관련 출원 건수는 최근 5년 연평균 17.8건으로, 그 이전 5년간 연평균 4.6건에 비해 약 4배 증가했다.
출원 주체별로 살펴보면, 지난 10년간 전체 특허출원 112건 중 기업 출원이 약 40%(45건)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개인 출원으로 약 25%(28건)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장갑은 센서, 디지털 및 통신의 첨단 기술을 도입해 사물인터넷(IOT, Internaet Of Things)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센서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문자뿐만 아니라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과 같은 사람의 동작을 인식하고 이를 유무선 통신 기술로 공유한다.
가상 촉감 기술은 실제 주변 환경뿐만 아니라 가상 환경이나 증강 현실의 느낌을 장갑 착용자에게 그대로 전달한다.
스마트 장갑은 정보 수집·공유를 통하여 새로운 기능을 도입하고 이를 의료용, 재활치료용 및 장애인용 등에 적용하여 그 활용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말하는 장갑은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수화를 자동 인식하고 번역하며 스피커를 통해 이를 음성으로 들려주고, 번역하는 장갑은 시각 장애인들을 위해 점자를 판독 및 생성한다.
의료용 장갑은 재활치료 시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도와주고, 생체신호나 운동정보를 측정하여 건강 상태를 진단하며 나아가 진통을 줄이는 주사나 수지침을 구비한다.
특허청 고태욱 고분자섬유심사과장은 “사물인터넷과 같은 첨단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장갑은 최근 화두가 되는 4차 산업혁명에서 그 활용성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특별히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말하는 장갑이나 의료용 장갑과 같은 기술이 주목된다.” 고 말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오픈 ...AI 시대 기술 경쟁력 확보 가속화
- 생태계 파괴 '드론'으로 막는다...생태계 파괴 방목 염소도 드론으로 포획
- KT, 네트워크 가상화(NFV) 기술 적용 'One Box 서비스' 출시...기업 IT 장비 통합 관리, 운영
- SK㈜ C&C, ‘인공지능(AI) 기반 제조∙하이테크 산업용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본격화
- 카카오, AI 기술개발 산학협력...서울대·카이스트·아산병원 교수진 참여 ‘초지능 연구센터’ 지원 및 공동연구
- 신세계百, 21년간 지역 인재들에 희망장학금 50억 전달
-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 "ESS 시장 키우려면 전력소매판매 시장에 민간기업 진입 허용해야"
- 중국 바이두 자율주행차 본격 시동... 구글· 테슬라와 승부
- 버라이즌, 컴캐스트 ·컴캐스트 등과 합병 가능성 시사...5G 도래 맞아 미국 방송통신시장 대규모 재편 예상
- '집이 주인을 알아보고 스스로 문을 열어준다?'...디지털 도어락도 IoT화
- [헬스케어 산업에 AI의 만남] 국내 스타트업, AI 적용해 의료 ·헬스케어 산업 범용성 확대
- [4차산업과 헬스케어의 혁신] 제약업계도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해야...정부, 4차 산업혁명 대비 보건산업 종합대책 추진
이보영 기자
newsvision-e@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