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비전e 이진구 기자]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이 한국을 최악의 환율조작국라고 최근 비난하자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이 공동으로 공식 항의서한을 보냈다.

지난 15일 파이낸셜타임즈(FT)는 “(중·일이 아닌)한국·대만·싱가포르야말로 최악의 환율조작국(worst offender)”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미 재무부는 호나율조작국 지정 요건을 현저한 대미 무역 흑자, 상당한 경상흑자, 외환시장 일방향 개입 등 3가지로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외환시장 개입 부분을 빼고 2가지 조건에 해당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한·대만이 환율 개입 여부에 대해 함구하고 있으나, 이들 국가를 환율조작국으로 볼 여지가 충분하다”며 특히 “중·일은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총생산(GDP)의 3% 가량에 못 미치지만, 한국의 경상수지 흑자는 GDP의 8%나 된다”라고 강조했다. 

16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지난 15일 공동명의로 FT 영국 본사와 일본 지사에 해당 보도내용이 사실이 아니라는 서한을 보냈다.

기재부 국제금융 라인이 외신에 직접 항의서한을 보낸 것은 이례적이다. 이번 조치는 소위 ‘4월 위기설’이 현실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이다.

기재부와 한국은행의 항의 요지는 "한국이 외환시장에 일방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는 내용이이 골자다.  FT가 지난 13일 한국, 대만, 싱가포르가 환율을 조작하는 국가라는 취지로 보도한 데 대해 정면 반박한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