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김호성 기자] 올해 상반기 정보통신기술(ICT) 부문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해 상반기 ICT 부문 수출액은 908억7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9.0% 증가했다.
종전 상반기 최대기록은 2015년의 852억5천만 달러였다.
반도체 수출이 435억7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51.9% 증가하면서 ICT 부문 수출 증가를 이끌어 냈다.
액체결정화면(LCD) 패널 단가 상승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 증가 등으로 디스플레이 수출액(146억 달러)도 14.3% 늘었다.
수출이 늘어난 국가로는 중국(홍콩 포함)이 467억5천만 달러(19.3%), 아세안이 172억7천만 달러(37.6%), 유럽연합이 51억8천만 달러(17.2%), 일본이 20억8천만 달러(7.5%)였다. 다만 휴대폰 완제품 수출 감소 탓에 대(對) 미국 ICT 수출은 81억7천만 달러로 9.8% 줄었다.
ICT 수입액은 484억9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했다. 반도체(193억4천만 달러), 디스플레이(31억6천만 달러)에서 7%, 37.2% 각각 늘었다.
상반기 ICT 무역수지 흑자는 423억8천만 달러로, 전체 무역수지 흑자(458억1천만 달러)의 92.5%를 차지했다.
올해 6월만 놓고 보면 ICT 수출액은 159억1천만 달러, 수입액은 88억8천만 달러로, 작년 6월 대비 각각 18.0%, 21.7% 늘었다.
6월 ICT 수출액이 150억 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반도체 수출액(81억8천만 달러)이 56.0%나 늘면서 사상 처음으로 월 80억 달러 고지에 오른 덕택이 컸다.
올해 6월 ICT 무역흑자는 70억3천만 달러로, 전체 무역흑자(114억 달러)의 61.7%를 책임졌다.
관련기사
- KT, 위성방송에 LTE 접목...터널에서도 끊김 없이 실시간 방송 전송
- LG유플러스, 골드번호 5천개 공개 추첨
- 체당금 부당수령 업주 구속... 부산지방고용노동청 통영지청 "조선업 밀집지역 체당금 지급증가...엄격 조사"
- KT, 2022년까지 업무용 차량 1만대 전기차로 교체
- LG유플러스, 상생경영 강화...‘협력사 제안의 날’ 개최
- 신동빈 롯데 회장, 일본 기관투자자 대상 설명회 참석..."총수 중심 집권적 경영 아닌, 기업단위 자율성 존중하겠다"
- 김동연 부총리, "정상회담 주요 성과가 경제·기업 도움될 수 있도록 빠른 시일내에 추진해야"
- 네이버 D2SF, 헬스케어·햅틱·증강현실 분야 3개 스타트업 신규 투자..."기술연구와 시너지 기대"
- 프랜차이즈, 하루 144개 문 열고 66개 폐업
- 김상조 공정위원장, "대기업과 중소사업자, 대등하게 협상할 수 있도록 하겠다"
- SK하이닉스, 올해 투자규모 9조원으로 확대... 신규 클린룸 건설 및 기반 인프라 등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