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비전e 정윤수 기자] SK텔레콤이 박정호 사장의 경영 철학을 바탕으로 직원들의 균형 있는 직장과 가정 생활을 위한 근무환경 조성에 나섰다.
그간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은 ‘직원이 행복해야 고객과 사회의 행복을 추구할 수 있으며, 기업은 저출산 · 여성 경력 단절 등 사회적 이슈에도 책임을 다 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1일 SK텔레콤은 초등학교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 신설, 임신기 단축 근무 강화, 출산 축하금 확대 등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직원들이 성별에 상관 없이 최장 90일간 무급 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를 새롭게 도입했다. 기존 육아휴직과 별개로 사용 가능하며, 휴직 기간은 재직 기간으로 인정받는다.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는 자녀의 학교 생활 적응, 부모-자녀의 원만한 관계 형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간으로, ‘입학 자녀 돌봄 휴직 제도’는 자녀에게 부모의 관심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직원들이 가정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SK텔레콤은 이 제도 도입으로 자녀 교육 등으로 인한 직원들의 육아 스트레스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상당수 여성 직원들이 퇴직을 고민하는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시기에 휴직을 신청할 수 있어 여성 경력단절 감소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SK텔레콤은 임신 초기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만 사용 가능했던 ‘임신기 단축 근무’를 전 임신 기간으로 확대했다. ‘임신기 단축 근무’ 제도를 활용해 여성 직원들이 임신과 동시에 출산 전까지 하루 6시간만 근무하며 건강한 출산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기존에는 단축 근무를 직접 신청해야 했지만, 이번에 이를 의무화 해 여성 직원들이 눈치 보지 않고 제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직원 출산 축하금도 첫째 · 둘째 · 셋째 출산 시 각각 30만원 · 50만원 · 100만원에서 50만원 · 100만원 · 500만원으로 상향해 재정적 지원도 강화했다.
박정호 사장은 지난 3월에도 사내 어린이집 정원을 70명에서 120명으로 두 배 가까이 확대하는 등 가족 친화적인 기업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또, SK텔레콤은 불임 및 난임 치료에 대한 의료비 지원 ∙ 난임 휴직제도 ∙ 육아휴직 2년 사용 등 임신 ∙ 육아로 인해 여성 직원의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HR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SK텔레콤 신상규 HR실장은 “이번 HR 제도 개선을 통해 직원이 보다 유연하게 직장 생활과 가정 생활을 양립시켜 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를 정착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 "직업병 가족대책위원회, 온양사업장 직접 방문해 자문활동 전개... PCB 제조장비 잔류물질 등 철저한 관리 당부"
- CJ제일제당, 러시아 라비올리사 인수 완료..."러시아 1위 냉동식품업체로 도약할 것"
- 세계 최초 UHD 방송...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이 주도
- SK(주) C&C, 중견·중소기업용 토털 클라우드 솔루션 패키지 출시..."디지털 전환 혁신의 길 열었다"
- LG전자, 3단계 직급체계 도입...창의적, 자율적 조직문화 조성
- SKT, ‘바닷속 통신 기지국’ 세운다...문자·사진 20초 간격으로 연속 송수신 성공
- LG유플러스, NB-IoT 기술로 미니태양광 발전량 측정한다
- SK하이닉스, 협력사와 상생협력 딥체인지...기술 로드맵, 동반성장 정책 공유
- 올 1분기 신설법인 3만 3천여개...사상 최대치
- 한상범 LGD 부회장, 올해 강연에서는 '사람'을 더했다
- 삼성SDS, 파트너사 솔루션 페어 개최해 4차산업 기술관련 소개..."상생협력 더욱 노력하겠다"
- ‘LG 페이’ 국내 서비스 본격 개시...9월까지 국내 모든 카드사로 확대
- "IoT에서 AI까지"... SK텔레콤-엔비디아, ‘인공지능 해카톤’ 개최
- 30대그룹, 지난해 2곳 중 1곳 '감원'
- 현대·기아차, 5월 美 자동차 판매 부진…현대차 15%·기아차 7% 급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