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월 4일 보도에서, 월가의 주요 은행 최고경영자들이 향후 몇 년간 중국 본토, 홍콩, 일본, 인도가 국제 투자자들의 새로운 자금 유입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비(非)달러 자산을 통한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성장 기회를 모색하려는 글로벌 투자 흐름이 아시아로 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최고경영자(CEO)는 4일 홍콩에서 열린 국제금융총수 투자정상회의에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경제 중 하나이며, 어떤 환경에서도 전 세계 자본은 중국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총 300명의 글로벌 금융 리더가 참석했다.

솔로몬은 “시장: 추세, 기회 및 위험”을 주제로 한 패널 토론에서 중국 본토와 홍콩 주식시장의 성장 잠재력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밝혔다. 실제로 올해 들어 홍콩의 대표 주가지수인 항셍지수는 35% 상승하며 세계 주요 주가지수 가운데 가장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상승세는 특히 중국 기술주에 의해 견인되었으며, 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저비용·고효율 AI 모델로 글로벌 주목을 받으면서 기술주 랠리가 강화됐다.

올해 1~9월 홍콩 증시의 일일 평균 거래액은 2564억 홍콩달러(약 33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6% 급증했다. 솔로몬은 “딥시크 효과든 장기적 관점이든, 중국 주식은 여전히 전 세계 투자자에게 매우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모건스탠리의 테드 픽 최고경영자도 “우수한 기업에 대한 보상과 분산 투자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며 “중국 본토와 홍콩 시장은 투자 기회와 수익 창출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인공지능, 로봇, 전기차, 생명공학 등 신산업 분야의 중국 기업들이 홍콩을 통해 성공적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에 따르면, 올해 1~9월 홍콩의 신규 상장 기업이 66개에 달했고, 이들이 총 232억 7천만 달러를 모집하며 전년 대비 220%의 급증세를 보였다.

자본그룹의 회장 겸 CEO인 마이크 지틀린은 “투자자들이 비달러 자산에 지속적으로 분산 투자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이 아시아 시장으로의 자금 유입을 더욱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패널 토론을 진행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의 량펑이 행정총재는 “올해 아시아 시장이 급격히 성장했으며, 밍성 아시아태평양 지수가 20% 이상 상승했다”며 “중국, 홍콩, 인도, 일본, 동남아 시장이 주요 성장 동력”이라고 말했다.

피크는 이에 대해 “중국, 홍콩, 일본, 인도 시장은 서로 다른 길을 걸어왔지만, 함께 ‘아시아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다”며 “국제 투자자에게 아시아는 더 이상 주변이 아닌 핵심 무대”라고 강조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