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통신사(Agence France-Presse)에 따르면, 마크 카니(Mark Carney) 캐나다 총리 정부는 11월 4일 “역사적인 예산”을 발표하며, 미국의 고율 관세로 큰 타격을 입은 자국 경제를 전면 개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2025년과 2026년에 예상되는 성장 둔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경제 질서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 조사에 참여한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올해 캐나다의 경제성장률은 1.1%로 전망되며(전년 추정치 1.9% 대비 하락), 2026년에는 1.2%(전년 추정치 2.1%)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이번 예산을 “단순한 과도기가 아닌 결별의 선언”으로 규정하며 “짧은 시간 안에 경제 기반이 바뀌는 역사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5~2026년 지출 계획에 따르면, 캐나다의 재정 적자는 작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해 783억 캐나다달러(약 555억 미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샹펑페이(商鹏飛) 재무장관은 “우리는 역풍을 맞고 있다”며 “이번 예산은 단순한 지출이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 예산”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공공서비스 지출을 600억 캐나다달러 절감하고, 이를 인프라·국방·주택 건설 등 전략적 분야에 재투자할 계획이다. 이는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인한 경제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카니 총리는 이번 예산의 초점을 대형 인프라 투자와 국방비 확충에 맞췄으며,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강화로 흔들린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트럼프의 관세 조치는 캐나다의 자동차, 알루미늄, 철강 등 주요 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며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번 예산은 캐나다가 나토(NATO)의 국방비 목표에 부합하도록 국방 지출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전국적인 항만 확장과 에너지 생산, 핵심 광물 채굴 인프라 구축에도 자금을 투입한다. 카니 총리는 “미국과의 경제 관계가 사실상 파탄난 상황에서, 이러한 프로젝트는 캐나다의 경제 주권을 지키는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4월 공식 취임한 카니 총리는 “이번 예산은 미국 의존도를 줄이는 첫 걸음이지만, 그 전환은 단기간에 완성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자유당 정부는 현재 의회 과반에 세 석이 부족해, 예산 통과를 위해 야당의 협력 또는 기권이 필요한 상황이다.
카니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이 예산이 캐나다의 올바른 길이라고 100% 확신한다”며 “필요하다면 국민의 심판을 받겠다”고 밝혀 조기 총선 가능성도 시사했다.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