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Intel)의 약 10% 지분 인수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이 경우 미국 정부는 인텔의 최대 주주로 올라설 가능성이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19일 백악관 관계자와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정부가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인텔에 배정된 일부 혹은 전부의 보조금을 주식으로 전환해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텔은 해당 법으로부터 총 109억 달러의 보조금을 지원받았으며, 이는 상업 및 군사용 반도체 생산에 사용될 예정이다. 현재 인텔의 시가총액 기준으로 10% 지분은 약 105억 달러에 해당한다. 다만 최종 지분율과 계획 실행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백악관 관계자 또한 반도체법 보조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음을 인정했지만, 이 제안이 정부 내부에서 광범위한 동의를 얻었는지, 혹은 다른 기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는 불확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인텔은 미국 정부뿐 아니라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도 받고 있다.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은 20억 달러 규모의 인텔 지분 매입 계획을 밝히며, 미국 내 투자 확대와 함께 인텔의 장기 성장성에 대한 신뢰를 드러냈다.
시장의 관심은 미국 정부의 지분 참여가 실제로 인텔의 사업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여부에 쏠려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지분 투자가 반도체법에 따른 자금 지원의 단순한 전환일 수 있으며, 이는 정부 투입 자금의 총액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집행 속도가 앞당겨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한다.
인텔은 올해 1월까지 약속된 보조금 중 22억 달러를 이미 수령했다. 그러나 이 자금이 주식 거래에 포함되는지, 트럼프 취임 이후 새로운 자금이 투입됐는지 여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또한 잠재적인 주식 거래와 관련된 추가 자금 집행 일정 역시 불투명하다. 현재까지 반도체법 지원금 대부분은 전임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 확정된 상태다.
정부 지분 참여 논의 소식에 힘입어 인텔 주가는 지난주 23% 상승해 2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으나, 지분 인수 계획에 대한 새로운 내부 소식이 전해진 이후 18일에는 3.7% 하락세를 보였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