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60년까지 인구 고령화 지속 전망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7월 10일 발표한 고용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을 중심으로 노동 적령 인구가 정점을 지나 감소세에 접어들며, 세계는 이미 ‘노동력 부족의 시대’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올해 기준으로 20세에서 64세 사이의 노동 가능 인구가 8억 2,020만 명에 달하며, 2024년에는 8억 2,050만 명으로 소폭 증가하지만,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스테파노 스카르페타 OECD 고용사회국장은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노동 가능 인구는 줄어들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2060년까지 계속될 것”이라며 경고했다. 마르세우스 콜먼 OECD 사무총장 역시 “앞으로 2060년까지 노동 적령 인구는 8% 감소하는 반면, 연금과 의료 분야에 대한 공공 지출은 매년 GDP의 3%씩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지역은 유럽과 동아시아다. 특히 일본과 한국은 빠른 속도의 고령화와 낮은 출산율로 인해 잠재 노동력이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엔은 2060년경이면 65세 이상 인구의 부양 비율이 52%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으며, 이는 1980년 대비 세 배에 이르는 수치다. 스카르페타는 “OECD 국가의 노동자 한 명이 은퇴자 한 명의 소득의 50% 이상을 부담해야 할 것이며, 일부 국가는 이 비율이 70%를 넘을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OECD는 문제의 핵심이 더 이상 일자리 부족이 아니라 ‘일할 사람 부족’이라고 강조한다. 이미 유로존 기업의 6분의 1과 서비스업체의 4분의 1은 노동력 부족을 생산의 주요 제한 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생산성 향상 외에도 고령자 고용 확대, 재교육, 이민 정책 등을 통해 구조적 해결을 모색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
특히 고령자의 노동 참여 확대가 핵심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기대 수명 증가와 건강한 노년층 비율의 상승은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가능하게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직업 훈련, 근무 환경 개선, 사회적 인식 변화 등 정책적 지원이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OECD는 단순한 연금 개혁을 넘어, 전 생애에 걸친 고용 능력 유지와 고령자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일부 국가는 이민을 통해 노동력 감소를 완화하려 하고 있지만, 순이민 확대의 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과 자동화 기술이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내비치지만, 스카르페타는 “AI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어도 인간 노동력의 구조적 부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기적의 해법’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결국 OECD는 고령화와 노동력 감소라는 구조적 변화에 직면한 각국이 성장률 둔화를 피하기 위해서는 고용정책의 전면적인 재정비와 사회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세계 경제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인구 전환점에 도달했다고 결론지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