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아들 결혼식이 남긴 불편한 단상-

대통령의 아들이 결혼 했다.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기쁨이다. 축하할 일이다.
그러나 그 결혼식이 "청첩장"이라는 작은 종이를 매개로 하여 공적 논란의 중심에 설 때, 우리는 그 속에 어떤 정치적 상징과 권력의 흔적이 들어 있는지를 되짚어보지 않을 수 없다.
지난 6월 14일 오후 5시 성북동에 있는 유명 음식집 삼청각에서 치룬 이재명 대통령 아들의 결혼식을 둘러싸고 정치권 안팎에서 청첩장 배포와 관련된 뒷말이 무성하다.
문제의 본질은 단순히 청첩장을 얼마나, 누구에게, 어떤 경로로 돌렸느냐가 아니다. 그 이면에 깔려 있는 메시지, 그리고 그것이 지금의 대한민국 정치문화에서 어떤 맥락으로 작용하는가가 핵심이다.
청첩장이 원래 친분을 맺은 사람에게 보내는 예의라면, 권력자가 돌리는 청첩장은 단순한 예의를 넘어선다. 그것은 일종의 ‘권력 신호’이자, ‘은근한 호출’일 수 있다.
대통령의 아들 결혼식에 초대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권력과의 거리, 혹은 향후 관계 정립의 암묵적 기준으로 작용하게 된다.
정치권 인사들은 물론, 관료들, 재계 인사들까지 움직이게 만드는 보이지 않는 압력. 우리는 이것을 오랜 시간 '부조 정치' 혹은 '혼사 외교'라는 이름으로 경험해왔다.
물론 대통령 가족이라고 해서 인간적인 삶을 포기하라는 법은 없다. 사적 기쁨을 나누는 것조차 감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면 그것 또한 지나친 일이다.
그러나 ‘공정’과 ‘서민’을 입에 올리며 권위주의 정치의 청산을 외쳤던 정치인이, 정작 자신의 가족 행사에서 권위주의적 관행을 답습한다면, 그 괴리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문제는 청첩장이 아니라, 그것이 던지는 정치적 뉘앙스다. 만약 이 청첩장이 권력자에 대한 충성의 표현으로, 또는 앞으로의 청탁을 위한 예열 장치로 사용됐다면 그것은 결코 ‘사적 행사’라는 말로 감쌀 수 없는 공적 사안이 된다.
아니, 오히려 청첩장의 ‘사적 포장’이 ‘공적 관계의 설계도’로 기능하는 역설이 성립하는 것이다.
정치인은 말이 아닌 삶으로 신뢰를 얻는다. 말로는 민생을 외치고, 행동으로는 권위의 그림자를 쫓는다면 그 정치의 진정성은 무너진다. 대통령의 아들 결혼식은 지나간 일이지만, 권력의 ‘일상적 유혹’은 여전히 우리 정치의 구조적 문제로 남아 있다.
그리고 청첩장은, 어쩌면 그 가장 사소하고 은밀한 형태일지 모른다.
이번 결혼식은 비공식적으로 조용히 할 예정이었지만 내노라하는 여당 실세 정치인들과 언론인들이 대거 참석하는 바람에 일대 교통이 마비되고 경호로 인해 일부 시민들은 불편을 겪어야만 했다는 후문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혼사에 대해 좀 더 신중에 신중을 기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 장남의 혼사는 한 가족의 경사를 넘어, 우리 사회에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는 계기가 되었다.
대통령 가족의 사생활은 어디까지 보호받아야 하는지, 그리고 공인으로서 가족의 문제에 대해 어디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더욱 필요해졌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김창권 대기자 ckckck1225@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