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프랑스 등에 이어 5번째로 인류무형문화유산 종목 보유국

우리의 전통문화 ‘장담그기’가 세계문화유산으로 확정 되었다.
3일(현지시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는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제19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를 열고,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최종 확정했다고 공표하였다.
장담그기는 메주를 쑤어서 간장, 된장 같은 장(醬)을 담그는 일이다. 메주에 소금물을 부어 발효시키고 숙성시킨 후 장을 뜨면 액상 부분이 간장, 고상 부분이 된장이 된다. 음식 맛의 기본을 이루는 간장과 된장은 그 쓰이는 비율이 지방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등재로 2001년 ‘종묘제례악’이후 한국의 23번째 세계유산이다.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중국과 프랑스 등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인류무형문화유산 종목을 많이 보유한 나라가 되었다.
2026년에는 ‘한지’ 도전이 예정되어 있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