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출자사업 성장사다리펀드2 예정
신규 출자사업 ‘K-콘텐츠 펀드’분야 첫 도전

한국성장금융
한국성장금융

민간 모펀드 운용사인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이하 한국성장금융’)2024년 상반기 출자사업 전환점을 돌고 있다.

2024년 펀드 규모 2조 원 이상의 자펀드 결성이 예상되고 연말까지 가게 되면 자펀드 결성규모는 25,000~3조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성장금융의 2024년 출자규모는 1조 원 수준으로 2배 이상의 자펀드 결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2분기부터 본격 출자사업을 시작한 한국성장금융의 핵심 출자사업들이 하반기에 몰려있다.

특히 모태펀드인 한국벤처투자가 주로 출자해온 문화콘텐츠분야에 첫 도전해 ‘K-콘텐츠 펀드를 출자하는 것을 시작으로 성장사다리펀드2’도 진행할 예정이다.

‘K-콘텐츠펀드는 문화체육관광부, 과학통신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재원 800억 원 가량과 함께 관련 대기업들의 자금을 매칭해 출자사업을 진행하는 방향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성장금융의 근간인 성장사다리펀드는 정책금융과 민간자금이 함께 출자한 민관합동 모펀드다.

금융위원회가 주축이 돼 추진한 기금으로 옛 한국정책금융공사,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은행권 청년창업재단(디캠프) 등이 3년간 총 18,500억 원을 출자해 조성하고 기업 등 4조 원 이상의 민감 자금이 포함해 6조 원 이상의 포함된 자펀드가 조성됐다.

2013년 출발한 성장사다리펀드는 운용 10년 동안 스타트업펀드 초기자산인수펀드 구조화금융펀드 세컨더리펀드 등을 조성하며 271개의 자펀드가 결성됐다.

지난 20238월 투자기한이 종료됐고 성장사다리펀드2 운용사에 재선정됐다.

성장사다리펀드2는 매년 2000억원 규모 출자해 5년간 총 1조원을 출자할 전망이다.

기존 성장사다리펀드에서 발생하는 회수 재원을 활용해 민간투자 기피 영역에 자금이 투입을 요구한 정부의 요구에 부합하는 출자사업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2024년 한국성장금융은 1차 중견기업 혁신펀드를 시작으로 지역활성화투자펀드(3000억원, 프로젝트펀드) 핀테크혁신펀드5(300억원) IBK 성장 M&A펀드(1, 프로젝트펀드(200억원) 혁신성장펀드(3000억원) 반도체 생태계펀드(650억원) 성장금융 은행권 기후기술펀드(900억원) 등 출자사업을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