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지금 한국 경제가 어렵습니다.

건설업이 살아나야 시장경제가 돈다는 말이 있습니다.

건설업은 국내총생산(GDP)의 15.4%를 차지하고 있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건설업이 흔들리면 국가 경제 전체가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건설업종의 경영난이 심각합니다. 특히 종합건설기업 폐업 신고가  지난해 대비  6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유발된 지속된 인플레이션과 원자재 쇼크에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휘청거리고 있습니다.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중소 건설사가 늘고 있고, 심지어  중대형 건설사들도 신용등급 줄강등 위기에 빠지고 있습니다.

정부의 재정 악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공공 공사는 물론 민간 공사까지 발주가 감소했고 고물가로 인한 각종 건설자재와 인건비 부담이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고금리로 이자부담까지 증가하면서 사업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습니다.

건축경기는 살아 날 기미는 보이지 않는 가운데 고금리와 미분양 PF 부실등으로 내년 1분기는 부동산 침체의 긴 늪에서 건설업계 또한 폐업 속출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내년부터는 중대 재해처벌법 등 규제도 강화돼 업체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원가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와 현금 유동성 위기를 겪는 중소, 중견 건설사가 줄도산이 되지 않도록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시급합니다.

고금리에 대출이자는 변동금리 적용으로 거의 2배로 뛰었고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부채는 9186만 원의 금융부채로 집계되었습니다.

고금리가 계속될 경우 소득금액이 적은 가구일수록 부채비율이 더 증가되고 있습니다.

가난한 서민 일 수록 빚이 더 늘어나고 있는 것 입니다. 향후 부동산 발 가시적 리스크가 발생 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도산하는 건설사들이 대부분 지방 건설사여서 가뜩이나 얼어붙은 지역경제가 더 나빠지고 있습니다. 과거 경기가 그래도 좋을 때 무리한 확장으로 위험에 빠진 부실기업들은 시장원리에 따라 도태되는 게 마땅합니다. 

그러나 급격한 줄도산은  건설산업 생태계를 뒤흔들고, 나아가 경제 전반으로 위기가 옮겨가는 일이 벌어져선 안 됩니다. 호미로 막을 수 있는데도 시기를 놓치면 가래로도 막을 수가 없습니다. 

정부는 미분양 해소와 유동성 확보 등 건설업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해결 해야 할 시점입니다. 부실의 뇌관이 터진 다음에는 이미 늦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