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해‧공군 TICN 전력화 완성

지난 12월 27일 한화시스템은 방위사업청과 전술정보통신체계(TICN; Tact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4차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업 규모는 6,059억원이며 2022년부터 오는 2025년 1분기까지 진행된다.
TICN은 군 통신망의 고속‧유‧무선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우리 군이 미래전에 대비해 첨단 전술지휘자동화체계(C4I;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Intelligence)를 구축하는 데 있어 핵심이 되는 체계이다.
TICN은 지난 2014년 연구‧개발을 완료한 후 2022년까지 초도‧2차‧3차 양산을 통해 전력화했다. 이번 4차 양산을 통해 육‧해‧공군의 TICN 전력화가 완성된다.
한화시스템은 기존 1∼3차 사업과 동일하게 TICN의 핵심 품목인 ▲망 관리‧교환접속체계 ▲전술이동통신체계 △소용량무선전송체계를 납품한다.
앞으로 TICN 전력화가 완료되면 우리 군은 대용량의 음성‧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활용하며 전시에 유‧무선망이 파괴돼도 군 지휘통제‧전술통신 체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네트워크 중심의 미래 전장에 대응해 통합전투역량이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지휘통제사업본부장은 “한화시스템은 TICN 1‧2‧3차 양산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우리 군의 첨단 정보화에 기여했다.”며 “TICN의 주체계업체로서 확보한 사전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성능개량형 TICN’ 등 군 미래통신 시장에서의 경쟁력 우위를 강화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대구시-벨 텍스트론 도심항공모빌리티 업무 협약 체결
- SK텔레콤, 도심항공 모빌리티 종합 실증 발표
- 한화시스템, KF-21의 눈 ‘AESA 레이다’ 국내 비행 시험 착수
- 한화시스템, 1분기 매출 3667억원 영업이익 180% 증가
- '한화시스템' 2020 실적 발표, 코로나19 장기화 여파에도...역대 최고
- 한화시스템, 연세대학교와 초소형 위성사업 분야 교류협력 MoU 체결
- 한화시스템, 군 정찰위성 핵심장비 개발한다
- 한화 방산계열사, 중동·북아프리카서 판로 개척
- 세계 로봇 석학들, KAIST와 공동 연구 '보이콧'
- [4차산업 기업發 주요뉴스] SKT "AI 국내 1위 사업자 되겠다" 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