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증가에 힘입어 기업들이 국내 설비투자를 늘려
2023년 일본의 명목 설비투자가 사상 최대치 돌파 전망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015년 540조7000억 엔(한화 약 4968조 5463억 원 )에서 2022년 561조9000억엔으로 몇 년간 증가폭이 크지 않았다.
2023년에는 24조엔에서 586조4000억엔으로 단숨에 늘어나 2024년에는 600조엔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가 상승이 명목 GDP를 끌어올렸다고 신문은 전했다. 기업소득, 이윤, 근로자 임금소득, 주가, 정부세수…눈에 보이는 경제활동은 모두 가격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두 '명목' 값이다.
디플레이션 탈출은 기업 행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990년부터 2021년까지 일본 대기업의 매출액은 5% 증가에 그쳤지만 이익은 164%나 늘었다.
기업이 구조조정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 장비와 인건비를 통제하는 것은 경제성장의 엔진인 투자와 소비를 위축시킨다. 인플레이션의 도래는 이 상황을 변화시켰다.
2022년 일본 대기업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10.6% 증가했다. 일본 중앙은행의 전국 기업 단기 경제관측 조사에 따르면 버블 경제가 정점을 찍은 1989년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중소기업까지 합치면 기업 전체의 매출 증가폭도 8.7%에 이른다.
수익 증가에 힘입어 기업들이 국내 설비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2023년 일본의 명목 설비투자가 사상 최대인 100조엔을 돌파할 전망이다.
올해 4월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가 2027년도 설비투자 115조 엔 달성을 목표로 세운 것을 보면 이보다 앞서 달성한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이번 물가 상승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에 따른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에서 비롯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이후 경기 회복과 노동력 부족까지 겹치면서 가격·임금 상승세가 일본으로 번지고 있다.
이것이 다 좋은 것은 아니다.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만이 점차 고착화되고 있다.
지난 5월 일본의 실질임금은 인플레이션 요인을 뺀 전년 동기 대비 0.9% 하락했다.
2022년 상반기 명목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6%, 하반기 2% 이상 증가했다.이런 추세라면 2023년도 하반기 증가폭은 2.5%를 넘어설 전망이다.
민간 이코노미스트들의 평균 전망치에 따르면 일본의 2023년 3분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2.76%, 4분기에는 2.2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목임금 인상이 예상대로라면 2023년도 하반기 실질임금은 하향 조정에서 상향 조정된다.
물가는 일부에서 보듯 불확실성이 높아 일본 정부가 세심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분명한 것은 일본이 가계소득으로 소비성장을 이끄는 선순환의 기회가 생겼다는 점이다.
거품경제 붕괴 이후 30여 년간 지속돼온 국면이 점차 변화하면서 일본이 정상적인 재정·금융정책으로 회귀하려는 시도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중앙은은은 경제의 선순환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방위비와 소자화 문제만 거론해도 증세인데 세수는 계속 오르고 있다. 2022년도의 세수 추계는 65조2000억엔이었지만 최종 결산은 71조1000억엔으로 6조엔을 웃돌았다. 명목상 경제 확장 때문이다.
2023년 잠정 추계된 세수는 69조4000억엔으로 전년도의 71조1000억엔보다 낮아 정부의 명목성장률 전망과 맞지 않는다.
일본의 조세 수입이 4.4%라는 명목의 성장률 전망치로 늘어나면 2023년도의 조세수입은 74조2000억엔에 이른다.
세입의 자연적인 증가가 정부 재정을 지탱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는 인플레이션의 수혜자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