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상조업체와 장례식장의 관계는 불가분의 관계로 집안에 누군가 상을 당하면 상기 두 군데의 협조를 받아 장례를 진행하게됩니다. 

장례식장에서는 상조회사가 "갑"으로 상조회사 직원이나 회사에 밉보였다가는 그 장례식장에는 장례를 치를 수 없도록 고객유치를 도와주지 않게됩니다. 

장례식장에서는 어렵게 인,허가를 내고 수십억원의 비용을 들여 신축 한 건물 소요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상조회사는 가장 먼저 슬픔을 당한 고객 정보들을 알 수 있어 일종의 장례식장 선택권을 고객으로 하여금 장악하게 됩니다. 

갑작스런 슬픔을 당한 고객들은 당황하고 경황이 없어 상조업체가 대부분 이끄는데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다보니 수십억원의 건축비용을 들이고서도 상조회사의 "갑질아닌 갑질"로 인하여 그들의 요구와 비위를 맞출 수 밖에 없는 현실에 한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례식장에서는 고객의 유치권을 상조회사가 쥐락펴락 하기때문에 장례식장마다 최고의 서비스로 대우하고 

장례식장 한 켠에 상조회사 전용휴게실도 마련하여 안마의자및 음료까지 비치하여 최고의 예우를 해주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고객유치할 때마다 유치수당은 비공식으로 지급받게되고 명절에는 각종 선물뿐 아니라 아예 본인 고객의 명단까지 떠넘겨 장례식장에서 울며겨자 먹기로 택배로 보내주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그렇다면 상조를 들으면 과연 많은 혜택이 있을까요?

필자는 천만의 소리라고 단언하여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오히려 상조로 인하여 가격은 부풀려지고 슬픔을 당한 고객은 아무것도 모르는 상황에서 상조회사의 요구에 의하여 대부분 따라 갈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들어 동일한 물품과 서비스일지라도 회사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보통 상조회사의 각종 가격이 390만원이라면 장례식장에서는 220만원에 불과합니다. 

무려 170만원이나 되는 금액을 상조회사에서는 이익을 보게되는 구조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이곳저곳을 더하게되면 상조가입 금액의 3분의 2정도가 상조회사의 몫이 되는 것 입니다. 

그러다보니 안마의자및 무료 호텔 숙박권등을 내걸고 가입을 권유하다보니 고객은 정말로 가입을 하게되면 그 비싼 안마의자를 정말줄까? 하는 반신반의를 하게됩니다.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안마의자를 받을만큼의 상품을 선택하고 그 만큼의 돈을 지급해야 만이 안마의자던 호텔숙박권이던 받게 되는 것 입니다. 

회사가 손해를 보면서 상품을 공짜로 퍼줄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가 낸 금액에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 입니다. 

또한 각종 미끼상품들은 도중에 해약하면 선물로 받은 안마의자 비용을 상품가격보다 높게 책정하거나 많은 금액을 청구하게됩니다. 결국 절대 공짜는 없고 손해또한 보지않습니다. 

상조회사가 큰 회사는 직접 행사를 운영하는 부서가 있어 직원들을 파견하여 행사를 진행하지만 파견 인원수에 따라 추가 금액을 지급해야 합니다. 

또한 영세 상조회사는 행사 진행만 전문적으로 하는 업체에 행사를 팔아 넘기고 일정금액을 지급하면 그것으로 임무는 끝납니다. 

행사진행팀은 직접 상주와 상담을 하면서 기존 상조금액에 온갖 구실을 붙여 추가 금액을 유도합니다.

그래야만 더 큰 수당을 별도로 남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존 가입한 상품은 옛날 상품으로 그 품목은 단종되었으니 새로운 품목으로 유도하여 추가금액을 더하기도 합니다. 

장례에 대한 모든 진행은 장례식장에서 모두 할 수 있는데 중간에 상조회사와 행사지원팀이 끼게되어 폭리를 취하게되고 결국 장례식장은 음식장사만 하게되는 경우로 전락하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러다보니 장례식장마다 수십억원을 들여서 오픈을 하였지만 "곰은 재주가 넘고 수입은 떼국놈이 챙긴다"는 말이 어쩜 딱 들어 맞는 말일 것 입니다. 

상조가 생긴 근본적인 이유가 예전에는 장례식장의 폭리가 많았고 갑자기 상을 당해 어쩔 줄 모르는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도우미를 자처하는 상조회사가 탄생했던 것 입니다. 

상조업은 먼저 일본이 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수요가 생기기 시작하자 일본 상조업계를 모델로 1982년 4월 부산지역에 부산 상조개발이 원조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다 전국적으로 상조업체들이 우후죽순으로 난립하게되고 고객들의 피해가 커지자 검찰이 전국의 상조회사 100여개 업체를 대상으로 일제히 조사를 벌이는 사태가 발생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 상조업계 1위는 선수금 1조5,496억원을 보유한 프리드라이프 상조이며 그 뒤를이어 보람상조가 1조3,629억원으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위는 대명스테이션 4위는 교원라이프 5위는 교직원공제회 예다움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조에 가입하여 상을 당하여 전화만 하면 장례식장도 예약해주고 진행절차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알려주다보니 큰 인기를 끌게되었고 여기저기 우후죽순 생기다보니 피해를 입은 고객들도 참 많았습니다. 

필자도 월 3만원씩 불입하는 모 상조회사에 가입하여 자동이체로 25회 정도를 납입하였으나 상조회사는 어느 날 문을 닫고 없어져 고스란이 피해를 보아야 했습니다. 

우리가 보험을 가입하게 되면 일정 금액을 불입하다가 보험발생 사유가 발생되면 가입 금액만큼의 보험금을 지급하거나 면제를 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상조는 보험과 달리 "할부거래에 의한 법률"의 적용을 받게됩니다. 일반적으로 보험은 적게내고 보험금을 더 많이 수령할 수 있지만 상조는 물품을 선불식 할부로 구매하는 일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상조를 굳이 가입할 필요가 있을까요?

고객이 상을 당했을 때 상조회사에 연락하여 상품종류를 선택하여 일시불로 납입하면 되는 것입니다. 

굳이 미리 가입하여 매월 일정금액을 납입하다가 상을 당하면 전체약정 금액에 불입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낼 필요가 있을까 하는 의문입니다. 

어차피 가격은 똑 같은데 상조회사가 갑자기 먹튀라도 하게되면 고스란이 매월 불입금액을 떼이게 되는데 그럴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특별한 혜택을 보는 것도 아닙니다. 

갑자기 상을 당했을 때 상조 회사에 가입할 테니 만나자 한다면 상조회사는 속된 말로 "왠떡이냐 "하며 눈썹이 휘날리도록 달려올 것입니다. 

어느 고객은 상조회사의 허와실을 알게되고 상을 당하여도 상조회사에 연락하지 않고 장례식장을 직접 선택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만기때까지 불입하게되면 그래도 불입금액에 70%라도 찾을 수 있지만 도중에 해야되면 약관에 의하여 거의 손해보는 경우가 생기다보니 오히려 만기때까지 불입하고 환불을 받는게 오히려 손실을 덜 보는 것이라 합니다. 

우리 집  근처에 가까운 장례식장이 있어도 상조회사는 자기들에게 잘 해주고 수익이 많이 남는 장례식장으로 인도할 것입니다. 

고객은 상조회사의 요구에 의하여 집과의 거리가 멀어 불편하여도 이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아주 많이 있습니다. 

고객의 집에서 가까운 장례식장에서 행사를 치르기를 원하면 그곳은 바가지를 씌우는 곳이니 가면 안된다는 식으로 유도하는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상조회사는 장례식장을 입맛에 맞는데로 선택하여 행사를치르게되니 장례식장에서는 울며겨자먹는 식으로 상조회사에 잘 보일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형권 칼럼니스트 leehyung@nvp.co.kr

 

※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