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리의 성탄절 '캐롤송'과 이브날 '새벽송' 이제는 사라져간 아름다운 추억이 되었습니다.
그 옛날 크리스마스 이브 날에는 학생부와 청년부들이 조를 짜서 교인집이나 전도의 대상집을 방문하여 "기쁘다 구주오셨네" "고요한 밤 거룩한 밤"을 불렀던 기억들이 있으신지요?
성탄 이브 날에는 그동안 부서별로 연습한 율동이나 찬양 연극등으로 전교인과 동네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아기예수 탄생을 기뻐하며 성탄 이브의 밤을 보냈었지요.
중.고등부와 청년부들은 각자가 선물 한점씩을 준비하여 크리스마스 카드에 축하메세지와 씰(seal) 을 부착하여 선물교환을 했던 적이 있었고 내 선물이 누구에게 갈까 하는 기대와 호기심도 많았지요.
대부분의 시골교회에는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의 교회 출석률이 높기때문에 준비한 선물이 어느 여학생에게 전해질까 하는 설레임도 있었지요.
그 옛날 성탄절 이브 중.고등부 시절에는 각종게임과 장기자랑 등 즐거운 친목의 시간을 함께 나누다 밤 12시가되면 학생과 청년들 위주로 지역별로 조를 나누어 "새벽송"을 돌았습니다.
이때는 미리준비한 선물 담을 커다란 자루 2개를 가지고 가는것은 잊지 않았습니다.
"새벽송" 은 예수그리스도의 탄생을 축하하는 성탄절 이른 새벽에 젊은 학생과 청년들이 성도의 집을 두루 방문하여 찬양하며 주님의 탄생을 축하하는 행사입니다.
이때 방문한 집에서는 찬양으로 수고하는 이들에게 간단한 음식이나 선물을 준비하여 주면 거둬들인 음식이나 선물들은 주위의 어려운 가정이나 성도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주기도 합니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 어둠에 묻힌 밤~"
"기쁘다 구주 오셨네 만 백성 맞으라"
"메리 크리스마스(merry chrismas)!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연속하여 2곡의 찬양을 마치면 방문한 집에서는 어두웠던 집안 불이 갑자기 환하게 켜지며 선물을 건네주며 "메리크리스마스 !"를 함께 외치며 성탄의 기쁨을 맞이하였습니다.
방문한 모든 집에서 선물을 주는 것은 아니었지만 어린 마음에 그 집은 서운했지만 가끔 기다리다 깜박 잠이들어 선물을 주지 못한 집들도 많았습니다.
그런 집들은 성탄절 예배시간에 가져오기도 하였습니다.
어두운 밤 하늘에 울려퍼지는 찬양과 캐럴 송은 동네의 개들도 합창을 하듯 짖어댔습니다.
이날만은 교회에 다니지 안해도 어느 누구하나 시끄럽다거나 항의하는 사람은 전혀 없었고 새벽송을 인정해 주었습니다.
어두운 새벽에 새벽송을 다니는 젊은 학생들을 먹이기 위해서 떡국을 준비하고 방을 따뜻하게 지펴놓은 장로님과 권사님의 사랑을 지금도 잊지못하고 기억하고 있습니다.
음식을 대접받고 한다는 기쁨이 모두의 가슴에 강물처렁 흘렀고 새벽송 시절의 감동은 추억이 되었습니다.
어린시절 수요예배와 주일 날 그리고 새벽 교회 종소리는 밤 하늘에 은은히 울려퍼졌고 동네사람들은 종치는 시간이 몇시가 되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필자가 중.고등학교 시절만 해도 통행금지가 있었던 시절이었습니다.
통행금지 시간는 1945년 9월부터 야간 통행금지 조치가 이루어졌고 크리스마스와 신정등 특별한 날에만 일시적으로 해제를 하기도 하였습니다.
야간 통행금지는 37년간이나 계속되었다가 1982년1월 5일 새벽 4시를 기해 일제히 해제되었습니다.
이로써 국민의 권리가 회복되었고 인신자유의 구속 수단이 줄어들었으며 억압적인 사회에서 다양한 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하였습니다 .
새벽송과 함께 눈 내리는 성탄절 이브는 어린시절 성탄의 기쁨을 배가 시켰고 아름다운 추억으로 남아 있습니다.
요즘 가끔 떠도는 동영상을 보면 예전의 새벽송같은 분위기는 아니지만 대중이 많이 모인 장소인 "서울 역"에서 한 사람 한 사람씩 캐롤송을 부르는 사람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어느 새 많은 단원들이 쏟아져나와 "캐롤송"과 함께 율동과 악기로 크리스마스축하와 흥을 돋우면 많은 사람들의 입가에 저절로 미소와 환희가 번지는 모습들을 보게됩니다.
비단 서울역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세계의 큰 도시 실내와 광장에서 종종 일어나는것을 동영상을 통하여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이러한 기획된 행사들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시내 한복판 레코드 집에서나 가계에서 징글벨등이 흘러나오는 크리스마스 캐롤송을 들을 수 없습니다.
최근 몇년전부터 저작권법이 바뀌어 임의대로 음악을 내보냈다가는 저작권법에 위반되어 벌금이나 소송을 당할 수 밖에 없기때문에 거리에서는 이제 들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아마 예전의 새벽송을 지금의 도심 한복판에서 부르게된다면 "시끄러워 잠을 잘 수가 없다고" 많은 민원들이 들어올 것입니다.
그만큼 세월이 이기적으로 변하고 개인주의가 팽배하는 세상으로 변화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새벽송은 한국 교회가 포기하지 말아야 할 아름다운 기독교유산입니다.
1년에 한번 맞이하는 새벽송을 다시 부활하여 학생들과 청년들에게 젊은 시절 성탄의 기쁨을 다시한번 느낄 수 있게 한다면 선교와 영혼구원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아울러 도심과 시골의 교회마다 새벽송을 발전시켜 지역민들과의 유대관계를 더욱 긴밀히하고 지역민축제로 자리매김 하여 주님의 탄생을 기뻐하고 감사하는 생활로 자리잡았으면 합니다.
독자 여러분들도 어린시절 "새벽송"의 추억과 기억이 있으시지요?
새벽송을 다시 부활 시키자는 제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이형권 칼럼니스트 leehyung@nvp.co.kr
※ 외부 필진의 글은 본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